d라이브러리
"길"(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코딩을 공부하면서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알았습니다. 남 교수는 수학이 복잡하고 길게 적어야 할 내용을 간단히 짧게 나타내는 언어와 같다고 말했습니다. 수학은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두루 쓰이고, 수학을 알면 더 넓은 세상을 볼 수 있죠. 그래서 남 ... ...
- [훈쌤이랑 코딩수다] 인공지능으로 얼굴 속 황금비율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얼굴의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 비율은 물론이고, 턱과 코 사이 길이와 코와 눈썹 사이 길이의 비율 등도 황금비율을 따르지요. 이번 호에서는 엔트리의 인공지능 기능으로 여러분 얼굴에 황금비율이 있는지 찾아볼 거예요. 황금비율을 재는 여러 기준 중에, ‘눈과 눈 사이의 거리’와 ‘입술의 ... ...
-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이번에 인공지능 알파폴드2가 보여준 단백질 구조 예측은 획기적이지만, 아직은 갈 길이 멀기도 해요. 알파폴드2는 단백질 하나의 구조를 잘 예측했어요. 하지만 단백질 여러 덩이가 어떻게 결합하는지도 예측할 수 있어야 생물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어요. 아직은 시간이 더 필요하지요.알파폴드2는 ... ...
- [이달의 책] 당신의 표정을 진화로 설명하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치우쳤다는 지적도 있다. 20세기 존 왓슨의 행동주의가 퍼지면서 다윈의 주장은 더욱 갈 길을 잃었다. 행동주의는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따라 결정된다고 주장한다.이런 한계에도 다윈의 연구는 인간과 동물의 연속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충분한 가치를 가진다. 다윈의 통찰은 현대에 미국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분석해 사건이 발생할 것 같은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밤중에 으슥한 길에서 한 사람이 급히 달려가고 있고 그 뒤를 누군가 뒤쫓고 있다면 이는 범죄의 신호일 확률이 높겠죠. 그런 상황이 벌어지는 동시에 경찰에 자동으로 신고가 들어가는 거예요. 빅데이터를 활용해 범죄를 사전에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모두 가까이했죠. 여러분도 편의상 나눠진 분야에 자신을 가두지 말고 하고 싶은 걸 하길 바랍니다. 안성민 작곡가의 ‘L.A.S.S.14’, ‘L.A.S.S.1-20’소설 속 수학이 하프 선율로~ ‘1, 11, 21, 1211, 111221, 3a12211, 13112221, 1113213211···.위와 같은 수열에서 9번째에 올 수는?’ 베르 ...
- [이달의 과학사] 1863년 1월 10일 세계 최초의 지하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어나를 수 있는 기차는 런던 외곽까지만 운행했거든요. 거기다 마차를 끄는 말들이 길거리에 엄청난 양의 똥을 싸며 거리를 오염시켰죠.1854년, 런던시는 이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해 고심했어요. 이 문제의 해결사는 런던시 법무관 찰스 피어슨이었습니다. 도시 지하를 통과하는 기차를 설치해 ... ...
- [현장취재] 여기 다- 모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1월 12일~13일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우주산업을 주제로 한 컨퍼런스 ‘뉴스페이스코리아: 업리프트 2020’이 열렸어요. 우주로 진출할 꿈나무 회사인 스타트 ... 방법 등을 논의하고 있지요. 클레멘츠 교수는 “작은 스타트업도 천문학자와 이런 문제를 논의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페르미, 최초의 원자로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1942년 12월 2일, 미국 시카고대학교의 미식축구장 지하에 긴장한 표정의 물리학자들이 하나둘 모였어요. 이날은 세계 최초의 원자로인 ‘시카고 파일 1호(CP-1)’의 시험 가 ... 토대가 되었답니다. 무시무시한 무기와 함께 원자력 에너지를 평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도 함께 연 거지요 ... ...
- [쇼킹 사이언스] 페루에서 길이 37m 그림 발견! 2000년 된 고양이라옹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나스카 지상화를 그린 이유는 아직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어요. 신에게 보여주기 위해, 길을 표시하기 위해, 부족들끼리 큰 그림 그리기 경쟁을 하기 위해서 등 다양한 가설이 있지요.최근 연구자들은 점점 더 많은 나스카 지상화를 발견하며 고대인들이 지상화를 그린 이유에 대한 단서를 찾고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