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파·방사능 스마트폰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학위를 받은 고 대표는 연구교수로 일하면서 검사장비를 만들어 대기업에 판매한 경험을
계기
로 2001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그러다가 지난 여름 한 친구가 “방사능 측정기가 너무 비싸다”며 불평하는 소리를 듣고 일반 소비자용 측정장치를 만들 생각을 했다. 이번에 출시한 스마트랩 ... ...
Part 2. 별별 필즈상 이야기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에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으신가요?세계수학자대회를
계기
로 한국은 수학 선진국 대열에 올라설 겁니다. 그리고 많은 학생들에게 꿈을 심어 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초과학 분야는 정부의 지원이 없으면 발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번 기회에 한국 정부에서 기초과학 ... ...
Part ➊ 수학자들의 올림픽, 세계수학자대회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한자리에 모여 연구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모임을 만들자고 제안한다. 이것이
계기
가 돼 1897년스위스 취리히에서 제1회 세계수학자대회가 개최됐다.한편, 오늘날의 올림픽은 기원전 8세기부터 5세기까지 고대 그리스에서 열렸던 올림피아 경기에서 비롯됐다. 19세기 말, 유적이 발굴되면서 ... ...
[시사] 수학의 고수, 수학자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자신감이 생겼어요. 수학이라는 한 우물만 파는 데에 수학올림피아드 대회가 결정적인
계기
가 됐죠. 수학 말고는 잘하는 게 없기도 하고요. 하하.”국제수학올림피아드 이야기를 좀 더 들어 보기로 했다. 남들은 한 번도 나가기 힘들다는 대회에 2회 연속으로 출전한 임 군은 어떤 기억을 갖고 있을까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데이비드 길리버라고 합니다.이런 사진들을 찍게 된
계기
가 무엇인가요?저는 1997년부터 2001년까지 영국 글래스고 대학교에서 사진을 공부했어요. 공부를 하면서 ‘디오라마’라는 사진 기법을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곧 작업에 사용되는 작은 도구들에 매료되었죠. 이 ... ...
[체험] 손끝으로 만나는 수학세상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이매지너리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승훈 : 독일에서 시작된 전시회 이매지너리의 역사가 궁금해요. 어떻게 시작됐고, 어떤
계기
로 우리나라까지 들어오게 된 건가요?강철민 박사 : 이매지너리는 독일 오버볼파크에 위치한 ‘오버볼파크 수학연구소’가 처음 기획한 수학 전시 프로그램이에요. 2008년 독일 수학의 해를 기념해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가장 필요한 게 뭘까요? 비행에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도록 정교하게 만든
계기
판입니다. 이런 인터페이스가 산업공학에서 늘 고민하는 영역입니다. 스마트폰에서 어떻게 메뉴와 버튼을 배치해야 사용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지 연구하는 인간공학은 ... ...
[Life & Tech] 1%의 기원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실은 이유도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스 피케티가 쓴 ‘21세기 자본론’이 돌풍을 일으킨 게
계기
가 됐다. 피케티는 “갈수록 커지는 부의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득세를 최고 80%까지 거둬야 된다”고 주장한다. 과연 피케티의 주장을 따라야 할까. 그랬다가는 오히려 사회가 거꾸로 갈까.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2] 김영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1988년에는 ‘재미있는 물리여행’을 출간했다. 이 책을
계기
로 전국의 대형서점에 교양과학 매장이 따로 생겼으며, ‘재미있는 여행 시리즈’가 계속 나왔다.김영사는 재미있는 특징이 있다. 꽤 많은 과학책을 내고 있는데도 인문·과학 팀에 이공계 전공자가 없다. 큰 ... ...
십자매는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이것이 바로 오카노야 카즈오 도쿄대 교수와 필자 등이 명금류인 십자매를 연구하게 된
계기
다. 십자매에게서 언어의 규칙을 발견하다십자매는 일본에서 탄생한 가금(기르는 새)이다. 에도 시대(1603~1868년)에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던 십자매의 야생 원종(흰허리핀치의 일종)이 수입된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