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정"(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방법은 무엇이 었을까? 칸토어는 0과 1 사이의 모든 실수를 자연수와 하나씩 짝지었다고 가정하고 시작했다. 그 다음, 이 목록에 없는 실수를 찾을 수 있는지 실험했다. 먼저 왼쪽 그림과 같이 자연수 n을 배정받은 실수의 소수점 아래 n번째 자릿수를 찾아 표시해 보자. 그러면 대각선을 따라 0.125781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4색 정리의 응용판! 베크너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아펠과 볼프강 하켄은 4색 정리 증명을 위해 귀류법을 사용합니다. 4색 정리가 틀렸다고 가정하고 모순을 이끌어 내지요. 즉 4색 정리에 반례가 있다면 반드시 반례인 1936개 경우 중 하나가 되는데, 그 경우도 4색이면 충분히 색칠할 수 있다는 걸 보여 4색 정리를 증명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최소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한 사람들보다 더 많은 후손을 남길 수 있었다(선택이 작용하는 단위가 개체라고 잠시 가정한다). 바로 이런 의미에서 추우면 몸을 덜덜 떠는 사람을 도킨스는 ‘이기적’이라고 비유했다. 사실 자연 선택의 단위는 정의상 ‘이기적’(다음 세대에 후손을 많이 남기는 특성)이므로 이 은유는 싱겁게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바위, 보처럼 서로 물고 물리는 세 집단에 외부 경쟁과 함께 내부 경쟁이 발생한다고 가정했어요. 그리고 외부 경쟁률과 내부 경쟁률, 집단의 성장률, 집단간의 이동률을 변수로 하는 미분방정식을 만들었어요. 이 식으로 시간에 따라 집단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시뮬레이션했지요. 그 결과 내부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교수와 사하론 셸라흐 예루살렘 히브리대 수학과 명예 교수는 연속체 가설이 틀렸다고 가정할 경우에만 생길 수 있는 두 가지 무한집합의 크기가 같다는 것을 증명했다. 두 무한집합은 원소를 뽑는 방법은 서로 다르지만 자연수 집합보다는 크고 실수 집합보다는 작다. 그동안 많은 학자가 표준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동생에게 10만 원을 줄 수 있고, 동생은 큰 방을 가지면 오빠에게 5만 원을 줄 수 있다고 가정하자. 게임이론★ 자신의 이익을 달성하려는 사람들이 어떻게 의사 결정을 할지 연구하는 이론. 이때 방과 돈을 나누는 가장 쉬운 방법은 ‘분할선택법’이야. 한 사람이 분배 방법을 제시하면 상대방이 ... ...
- 나도 모르게 왕따 가해자?! 왕따가 생기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긴 무리가 진 무리의 자원을 탈취하되 뺏어오는 양이 두 무리의 크기 차에 비례한다고 가정했습니다. 그리고 경쟁이 끝나면 무리에 속한 사람들이 자원을 나눠 갖게 했지요. 사람들은 자기가 이득을 더 얻는 쪽으로 무리를 옮길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무조건 무리를 옮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휴머노이드 로봇도 출동하자마자 무거운 건물 잔해에 깔려버렸다. 실제 재난 현장을 가정하면 제아무리 첨단 로봇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화려하지는 않지만 실용성으로 무장한 재난구조로봇 3인방을 소개한다. 장애물이 뭐죠? 나는 뱀 로봇좁은 공간을 비집고 들어가 생존자를 ... ...
- Part 2. 위상수학에서 찾은 우주의 모양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추측의 증명은 우주의 모양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우주가 3차원 공간이라고 가정한다면 위에 보이는 8가지 모양 중 하나이거나, 이 8개의 조합으로 만들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수학자의 상상력으로 만든 우주의 모양이 과연 사실로 밝혀질 수 있을지 궁금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Issue] 경주 지진 벌써 1년, 석가탑과 첨성대 큰 지진에 견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따르면 9세기 말 경주에는 17만8936호(戶)가 있었다고 한다. 1호당 4~5명이 살았다고 가정하면 경주에는 90만 명 정도가 거주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100명이 사망했다면, 9000명 당 1명꼴이니 현재의 서울 인구(1500만 명)로 따져보면 1500명이 넘게 사망한 것과 비슷하다. 실로 어마어마한 규모의 ... ...
이전5960616263646566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