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22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5
과정에서 광학 장비들이 견디지 못하고 깨져버렸기 때문이다.이때 광학 장비의 기술적인
한계
를 일거에 극복한 아이디어가 CPA 방법이다. 무루 박사는 펄스를 최대출력을 낮춰(펄스폭을 늘려) 증폭시킨 다음, 발진시키기 직전에 증폭시킨 빛의 최대출력을 다시 높이는(펄스폭을 좁히는) 방법을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05
그동안 이 실험은 뇌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만큼 강력한 레이저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한계
때문에 진전이 없었다.그런데 2008년 4월 유럽 과학자들이 매우 강하고 짧은 펄스의 레이저 사용해 뇌운 속에 전기 활동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비록 펄스 레이저가 만든 플라스마 통로가 너무 짧아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05
셈이다.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전달매개체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의 근본적
한계
를 극복하는 데 성공했다. 1990년대 중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병홍 박사팀은 철이나 망간 같은 금속의 산화물을 환원시키면서 생장할 수 있는 금속염환원세균을 미생물연료전지의 바이오촉매로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쪽으로도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GPS를 이용한 연구 역시
한계
는 있다. 위치추적을 할 때마다 줄어드는 배터리 수명 때문에 연구할 수 있는 기간이 1년을 넘기기 힘들다. GPS단말기를 묶었던 끈이 중간에 풀리거나 천적에게 잡아먹혀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하다.홍도와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05
높다. 다만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발전 지역이 일조량이 아주 높아야 한다는 점은
한계
로 지적된다. 지열발전소는 지하 시추 기술이 발전할 경우 강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온실가스 발생량이 많고, 지하에서 끌어올린 물에 오염물질이 녹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05
‘범위나
한계
를 넘어서다’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메타물질은 말 그대로 자연 물질의
한계
를 넘어선 물질이나 다름없다. 실제 자연의 물질이 절대 해내지 못하는 수준까지 빛을 심하게 꺾을 수 있다. 빛을 물질 주위로 에돌아가게 해서 투명망토 옷감으로 손색이 없는 수준까지 가능할 정도라고 ... ...
한방과 양방으로 다스리는 척추측만증
과학동아
l
201004
고통을 없애기는 하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약효가 떨어져 다시 복용해야 하는
한계
가 있다.경안한의원 변정윤 원장은 약물보다 더 훌륭한 치료 방법이 있다고 강조한다.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것, 즉 약해진 근육을 강화시키고 긴장된 근육을 풀어주는 일이다. 근육은 약해진 원인에 따라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04
원숭이냐’라는 불만을 가질 수도 있다. 하지만 원숭이의 행동패턴을 근거로 인간의
한계
치를 예상해 하루에 7시간 근무하고 일주일에 3일을 쉬게 했다면 ‘우리는 원숭이가 아니다’라는 이야기가 나오지는 않았을 것이다.혹자는 대체 150이란 숫자가 왜 그렇게 중요하냐고 묻는다. 진화적으로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04
산정한 지진 규모와 근거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역사 지진만으로 대지진을 예측하는 데
한계
가 있다는 것이 지진관측 전문가들의 견해다. 지진 규모진원에서 발생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생한 지진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규모가 1이 커질수록 에너지는 32배 더 커진다. 반면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04
관측하려고 끊임없이 노력했다. 하지만 빛으로 볼 수 있는 우주의 시간은 근본적인
한계
가 있다. 빅뱅 직후 약 40만 년 이내에 매우 뜨겁고 밀도가 높은 초기 우주에서는 빛이 다른 입자와 충돌해 빠져나올 수 없었기 때문이다. 안개가 자욱한 날에는 멀리서 불빛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것과 같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