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2,6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06
함께 찾아온다. 게다가 적과 싸우던 백혈구는 가끔 ‘정신이 이상해지는지’ 우리 몸의
정상
세포를 위협하거나 적이 모두 사라졌는데도 공격하는 일이 있다. 암이나 류머티즘성 관절염, 당뇨병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처럼 우리 몸은 외부요인으로부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병을 유발하는 경우가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05
그럼에도 변이 tRNA와 변형 mRNA만으로 새로운 아미노산을 도입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다.
정상
리보솜이 변이 tRNA를 인식하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앰버 코돈을 만났을 때 번역을 종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해리인자에게 경쟁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앰버 코돈 자리에 변이 tRNA가 자리를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05
한 점에 모인다. 이 점을 초점이라고 하고 눈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초점거리라고 한다.
정상
시력에서는 눈 뒤의 망막에 초점이 정확하게 맞는다. 근시인 사람은 초점거리가 짧아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힌다. 그래서 오목렌즈를 써서 초점을 뒤로 밀어준다. 반대로 초점거리가 긴 원시는 볼록렌즈를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
과학동아
l
201005
하지만 당시 나로호는 발사 216초(3분 36초)만에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
정상
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경우 3번째 발사가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05
장 청소나 변비는 지방 용해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오 교수는 “장 세척을 하면 장 속에
정상
적으로 있어야 하는 세균까지 사라져 세균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병원성 세균이 증식할 위험이 있다”며 “체중이 감소하는 이유는 탈수 현상 때문”이라고 말했다.흡연이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생각도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05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밤에도 겁 없이 돌아다니던 이 다람쥐들은
정상
다람쥐에 비해 훨씬 빨리 포식자에게 잡아먹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결국 생체시계는 어떤 종이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선택한 생존전략인 셈이다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05
반면, 공급량은 그만큼 늘지 않기 때문에 불균형이 생긴다”며 “이런 문제가 심화되면
정상
적인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강한 나라가 더 많은 에너지를 독식하는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래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빠를수록 좋다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그는 “신재생에너지 같은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04
한번 쓰러지면 영영 일어나지 못할 수 있다. 중심을 잃고 쓰러져서 머리를 부딪칠 경우
정상
인보다 30배나 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보너 교수를 비롯한 과학자들은“걸리버 여행기에 등장하는 사람의 다리는 물리적인 구조상 거의 코끼리 다리 수준으로 굵어져야 한다”고 설명한다. ... ...
올해 한국과학상에 강현배 씨 외 4명 수상
과학동아
l
201004
증명한 공로를 인정받았다.물리 부문의 이 교수는 광결정 물리광학 분야의 국내
정상
급 권위자로, 물리적으로 가장 작은 공진기에 근접하는 레이저 모습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화학 부문 수상자인 윤 학장은 나노 및 마이크로 입자를 조작해 다양한 신물질을 만드는 소재과학을 개척한 공로가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04
언덕처럼 솟아 있거나 작은 섬처럼 물속에 깊이 잠겨 있는 얼음이다. 보통은 피해가는 게
정상
이지만 얼음에 갇혔거나, 리지와 바로 접해 있는 부분을 연구하려고 할 땐 이것을 부수고 통과할 수 있어야 한다. 이날 도전한 리지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7m이고 그 위에 40cm~1.8m의 눈이 쌓여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