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3회 기상사진전 수상작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기상현상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재해에 대한 경각심도 일깨워 주고 있다.심사위원장인
한국
기상산업진흥원 봉종헌 원장은 “예전에 비해 출품작이 많고, 일반인 작품도 기상 현상의 개념을 이해하고 촬영한 작품이 많아 전반적인 수준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응모한 516점 가운데 총 27점이 ... ...
게으른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좋은 식사법은 매 끼니의 80%만 먹는 것이다.게으르게 먹는다?먹는데도 요령이 필요하다.
한국
인의 식사시간은 너무 짧다. 느림과 여유를 만끽하며 식사를 하면 건강해진다. 즉 게으르게 먹자는 말이다.먼저 배가 고플 때의 몸을 들여다보자. 간과 근육 등에 저장돼있던 지방인 ‘유리지방산’이 ... ...
똑똑하게 해 주세요, 하느님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머뭇거린다는 의미다. 어떻게 하면 정보를 더 빨리, 더 많이 전달할 수 있을까.2003년
한국
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는 NCX2라는 유전자를 제거해 ‘똑똑한 쥐’를 만들었다. 신경세포에 전기신호가 도착하면 세포 내부의 칼슘이온(${Ca}^{2+}$)이 많아지는데 NCX2는 이 칼슘이온을 세포 밖으로 ... ...
화장품으로 여드름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피부를 보습하고 피부장벽을 회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는 사실을 규명해 지난해
한국
해양공학회지에 발표했다. 이들은 앞으로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 화장품 개발에 나설 계획이다.다만 해양심층수는 미네랄 성분이 높아 화장품 원료로 쓰기 어렵다. 미네랄 성분은 스킨이나 크림 제품을 ... ...
IT꿈나무, ★나라행 티켓을 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국
첫 우주인 배출사업이 예정보다 1년 늦어지게 됐다. 과학기술부는 “최근 러시아가
한국
인의 소유즈 우주선 탑승 계획을 늦춰달라고 요청해왔다”며 “우주인 배출 시점을 1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이에 따라 오는 4월로 예정된 우주인 선발 계획은 물론 전체 훈련과 임무 개발 일정 모두가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로봇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후폭풍은 상당했다. 관객동원에서도 그렇고 그후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은 예상밖이었다.“태권V가 과학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준 것은 분명해. 하지만 기계에 대한 지나친 미화는 자칫 우리를 맹신과 우울증에 빠뜨릴 수도 있어. 로봇이 주인공인 ... ...
3. 태권V 10대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56m설’을 공식 채택하기로 했다.태권V의 무게는 어디에도 공식 자료가 없었다. 우리는
한국
의 첫 휴머노이드 휴보의 키(1.2m)와 무게(54kg)를 근거로 태권V의 무게를 계산했다. 약 5600t이 나왔다. 태권V는 첨단 소재를 이용했을 것이며 훨씬 가벼운 무게로 더 강한 힘을 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 ...
주민번호와 지문이 안보이는 새 주민등록증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이 행자부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주민등록증 갱신 타당성 연구용역 조사’에 따르면
한국
인은 차세대 주민등록증의 형태로 스마트카드(64.6%), 그 다음으로 위변조 방지 기술이 가미된 현행 주민증(24.5%), 신용카드형(6.4%) 등의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4_무엇이 문제인가현재의 주민증은 ... ...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군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내렸고 그렇게 심한 가뭄은 없었다.1901년 우리나라에 다녀간 영국인 앵거스 해밀턴의 ‘
한국
’(Korea)이라는 여행기에는 조선 말기인 1884년부터 26년간 계속된 가뭄으로 굶주림과 전염병이 만연된 비참한 우리 역사가 생생하게 기술돼 있다. 조선 말 같은 극심한 가뭄은 당장 내년부터라도 시작될 수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땀을 뻘뻘 흘리며 산에 올라 샘에서 물을 떠 마신다. 갈증이 싹 가신다. 그런데 샘에서는 어떻게 물이 계속 솟아날까.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든 뒤 아주 천천히 다시 땅위로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하에 스며든 물이 바로 지하수다. 땅속에는 어느 곳에나 물이 있다. 그래서 지하수를 ‘숨겨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