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적의 보안기술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연구하고 있는 래러티 교수팀은 2001년 23.4km 떨어진 알프스 산맥의 두 봉우리
사이
에서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했다.또한 원자탄을 개발한 곳으로 유명한 미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의 휴즈 박사팀은 2002년 대낮에 10km 무선 양자암호통신에 성공했다. 이 실험은 햇볕이 내리쬐는 대낮에 대기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닮았고 한시도 떨어지지 않고 언제나 함께 다니는 태양이니, 금실 좋은 부부나
사이
좋은 연인을 표현하는 말로 적당하지 않을까? “언제나 하늘에 떠있는 한쌍의 태양처럼 당신과 함께 하고 싶어요.” 태양은 그 의미를 살짝 바꿔 결혼식 주례사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말이 됐을 것이다.태양 수명은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구경이 크고 배율이 낮은 쌍안경은 확실히 도움이 된다. 두 성운
사이
의 암흑성운을 쉽게 느낄 수 있다. 흔히 펠리칸성운이 북아메리카성운에 비해 조금 더 보기 어렵다고 하지만 실제로 보면 그렇지 않다. 펠리칸성운의 가장 밝은 영역인 북쪽 지역은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생식선(生殖腺) 발달의 기절적 소장(期節的消長) 등 세 가지 현상에 관여한다눈자루나
사이
너스선을 제거하면 표피의 색소세포는 수축 또는 확장하는 능력을 잃고 환경의 색채와 명암(明暗)에 적응하는 반응을 못하게 되며, 탈피가 촉진되고 생식선은 정상적인 생식기절(生殖期節)이 아니라도 ... ...
지식의 바벨탑 코스모피디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확장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위키
사이
트쉽게 말해 읽고 쓰기가 가능한 웹
사이
트. 콘텐츠를 단순히 읽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고치는 것이 가능하다. 1994년 워드 커닝햄이 처음 개발한 방식으로 공동체적 성격이 강하다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찾는 시민참여연구센터의 발걸음이 빨라지게 생겼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회원들
사이
에서는 일명 ‘참터’ 로 통한다. 과학기술 전문가들의 사회 참여를 유도하고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활동을 지원하면서 ‘참’다운 과학기술을 가꿔나갈 ‘터’로 ... ...
발사에서 도착까지 7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5,900Å 가까운 빛깔만을 내므로 황색을 띤다램프는 외관(外管)과 내관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
는 진공이며 내관의 내부에는 한 쌍의 전극과 미량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무색의 결정성 물질 녹는점 210℃, 끓는점 400℃ 조해성(潮解性)이며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암모니아와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이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자동차 메이커의 차량 제작 수준을 판단하는 주요 근거였다. 차량 엔진과 연료탱크
사이
에 설치된 방열판 기술이 바로 그런 사례에 속한다. 로켓 엔진과 연료통, 인공위성 방열시스템에 쓰였던 이 기술은 혹시 발생할지도 모를 화재 위협에서 차량과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한다. 특히 10-12기통에 ... ...
성(聖)스러운 시험에서 '세계의 파괴자' 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독일과의 원자폭탄 개발 경쟁에 참여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됐고, 과학자들
사이
에도 독일이 선두에 나설 수 있다는 두려움이 확산됐다.마침내 1942년 8월 루스벨트는 맨해튼 계획을 승인했다. 맨해튼이란 이름은 당시 핵분열에 관한 연구가 주로 뉴욕의 맨해튼에서 이뤄졌기 때문에 붙여졌다. ... ...
벌집 쾌적 냉방 비밀은 여왕벌의 바람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연구결과가 나왔다.꿀벌은 벌집 내부의 온도를 바깥 기온에 상관없이 32℃에서 36℃
사이
를 유지해야 한다. 그래야만 애벌레가 정상적인 변태를 거쳐 성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햇빛이 내리쬐는 한여름, 주위 온도가 올라가면 일벌들은 날개짓을 시작해 벌집의 열을 식힌다. 그런데 수천마리 ... ...
이전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