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르헨티나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알팔파의 보급에 따라 점차 육우(肉牛)를 기르는 농가가 늘어났다. 그 결과 현재 목
양
업은 건조팜파 지역으로 밀려났고, 습윤팜파 지역에서는 목우(牧牛)를 주로 하고 있다.파타고니아(Patagonia)는 콜로라도강의 남쪽 지역을 일컫는다. 쉽게 말해 남미대륙의 남쪽 끝 부분인 것이다. 이곳에는 한랭한 ... ...
약물중독 유전될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먹으면 GABA와 반응하는 수용체(receptor)의 활동이 둔화되어 결과적으로 뇌 속의 GABA
양
이 증가됨으로써 불안이 누그러진다. 최근에는 GABA의 부족과 알코올중독의 대물림현상의 관계를 밝히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사회적 요인 무시 비난도약물중독의 원인을 생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과학자들은 ... ...
안전벨트에 관한 「미신」많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백~4백kg. 사람의 두 팔만으로 견딜 수 있는 힘은 50kg, 두 다리로 버티는 힘은 1백kg,
양
팔과
양
다리로 엉 버티는 힘은 1백20~2백kg(시속 7km로 달리는 차의 관성력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관성력을 이기지 못해 앞으로 튀어나갈 수 밖에 없다.뒷좌석은 안전하므로 따로 안전벨트를 맬 필요가 없다는 ...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제기됐다. '진공'이라는 아무 것도 없는 공간을 인정한다는 것을 무척 불안하게 생각한 모
양
이다. 예를 들면 '유리를 뚫고 지나갈 수 있는 물질이 있다', 혹은 '빛도 일종의 물질이니 완전한 진공은 아니다'라는 강력한 반대들이 있었다. 파스칼은 이 문제를 다음과 같은 사고방식으로 해결했다. ... ...
PARTⅠ 전자기술을 바탕으로 한 「무기없는 혁명」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예이다.후기산업사회에서는 정보산업의 바탕이 되는 교육수준이 높은 아시아 태평
양
지역이 북미 유럽과 더불어 또하나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역사적으로 모든 사회는 수송수단 에너지시스템 통신 등 세가지 하부구조에 의해 연결되어왔다. 이제 정보사회에 들어서면서 사람들을 연결하는 고리로서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김승업(54·브리티시콜럼비아대 신경내과교수) 신용무(59·사스카체안대 핵물리학교수)
양
옹진(59·토론토대 기생충연구소장) 유봉열(55·뉴브룬스윅대 식물유전학교수) 이영(58·카레톤연구소·유체역학) 이병훈(48·맥길대 유전공학교수) 정영섭(53·몬트리올대·미생물유전학) 등이 쟁쟁한 활동을 ... ...
낙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긴 눈썹이 있어 모래바람을 막아준다. 뿐만 아니라 그늘 하나 없는 뙤약볕 아래에서 태
양
의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눈꺼풀도 이중으로 되어 있어 아무리 모래바람이 불어도 끄떡 않고 사방을 볼 수 있다.낙타의 눈은 '먼산 바라보기'다. 우직하고 순박하게 생긴 눈은 항상 초점도 없이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힐드브랜드씨와 보인튼씨는 아이티 남쪽에 면한 대
양
을 조사하고 만일 유성이 그 대
양
에 부딪쳤더라면 일어났을지도 모르는 거대한 쓰나미(tsunami), 즉 해일의 표시를 찾아보았다. 결국 그들은 콜롬비아 바로 북쪽에 위치한 카리브해 바닥에서 함몰부위를 찾아냈다. 그것의 너비는 약 1백80마일이며 ... ...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창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및 남해 서부 울돌목)으로 무공해의 천연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해
양
공학기술 확보 및 계속적인 연구 투자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이외에도 한국대륙붕 및 연근해에는 해수중의 용존물 추출, 해수 담수화 등 많은 자원적 활용가치가 있다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더불어 오늘날 식물유전공학의 발달을 가능케 하였다.요컨대 식물체에 암을 유발하는 토
양
세포, 아그로박테리움에 대한 연구는 마침내 이 세균의 유해한 면들을 인간에게 유용한 방향으로 돌려 놓았을 뿐더러 식물유전공학의 길을 열게 하였다. 또한 옥신의 일종으로 인공합성된 2.4-D는 식물의 과속 ... ...
이전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