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날개 만든 천재 발명가 다이달로스 Ⅱ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했지요. 그는 깃 하나하나를 단단히 붙잡아 매되 큰 깃은 옷에서 뽑아낸 실로 묶고
작은
깃은 미궁의 천장 모서리에서 긁어낸 밀랍으로 붙입니다. 이카로스는 아버지의 솜씨가 신기해보였던지 옆에서 구경하다가 깃이 바람에 날려가면 쪼르르 달려가 주워오거나 천장 모서리에서 밀랍을 뜯어 와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감독은 일본 게임업계의 신이라 불리우는 히로노부 사카구치가 맡았고, 슈렉의 제
작은
지극히 미국적인 제프리 카젠버그가 담당했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두 영화의 분위기는 화면에 의해서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소리에서도 두 영화는 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 아무리 3D 애니메이션이 ... ...
디지털 천국 가정에서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디지털 가전기라고 하더라도 (휴대폰이나 고급 프린터에 달린)
작은
LCD 패널만 달고 있는 것도 있을 것이다. 물론, PC와 동일한 수준에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디지털 가전도 있을 것이며, 홈 게이트웨이(PC)에서 제어해야 하는 단순한 디지털 가전도 있을 것이다. 모든 장비에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살펴보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일도 흥미로울 것이다.보름달일 때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잘 보이는 지형은 크레이터 주위를 방사형으로 감싸는 빛줄기인 광조다. 이는 운석이 충돌해 크레이터를 만들 때 사방으로 튕겨져 나간 물질이 분화구를 중심으로 쌓인 지형이다.보름달에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예측하는 일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근사를 통해 해를 구했다 하더라도, 진짜 해와의
작은
오차에도 해가 안정한지를 분석해야 한다.이 외에 수학은 지배방정식의 여러 수학적 성질을 연구한다. ‘해가 매끄러운 성질을 가지는가’라는 정칙성 문제가 있다.내년에 있을 대통령 선거를 생각해보자. ... ...
왜 과학자들은 블랙홀에 빠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수치다.은하의 진화는 거대한 블랙홀과 상당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질량이
작은
은하는 우리 해보다 질량이 수백만배 더 큰 블랙홀을 가지고 있는데 반해, 질량이 큰 은하는 우리 해보다 수십억배 이상 되는 블랙홀을 갖고 있다. 따라서 블랙홀의 질량은 처음 태어날 때의 질량을 유지하는 ... ...
가짜 화석에 울고 웃는 전세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를 발견하자 일부 학자들은 너무나도
작은
두개골에 놀랐다. 그 두개골은 실제 침팬지의 두개골처럼 작고 뇌의 용적이 현생 인류와는 비교가 안될 정도로 작았으며 이마가 낮았다. 이에 비해 뇌가 크고 아래턱이 발달한 필트다운인은 당시 인류학자의 자존심을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머리뼈는 경사진 앞머리에 눈확위 융기가 큰 반면, 여자 머리뼈는 곧추선 앞머리에
작은
눈확위 융기가 특징이다.또한 머리뼈는 주인의 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 증거도 갖고 있다. 머리뼈에 있는 봉합선(suture line)이 바로 그것이다. 머리뼈 10곳에 자리잡은 봉합선은 어렸을 적에 벌어져 있다가 나이가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좁기 때문에 외부로 빼앗기는 열이 적습니다. 그래서 대사율은 낮은 편이고, 모든 게
작은
동물과 반대가 되지요.문 : 그렇다면 서식지가 더운 곳이냐 추운 곳이냐에 따라 몸집이 달라져야 할 것 같은데…. 여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요?답 : 물론 몸집이 클수록 추운데 살기 유리할겁니다. 표면적이 ... ...
진화의 일등공신 엄지손가락 제2의 뇌 손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일등으로 꼽았다.독일의 해부학자인 알비누스는 사람의 엄지손가락을 ‘또하나의
작은
손’이라고 불렀으며, 아이작 뉴턴도 “엄지손가락 하나만 갖고서도 신의 존재를 믿을 수 있다”고 말할 정도로 엄지손가락을 경탄했다. 손을 전공한 미국의 의대 교수인 존 네이피어 역시 “사람의 손가락 중 ... ...
이전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