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구원"(으)로 총 17,06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KAIST, 인공지능과 예술 국제포럼 20일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1.12.17
- 나노물질을 노출시킨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해 독성을 평가한다.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기존 방식보다 비용이 싸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모듈러 주택을 운송할 수 있는 충격 저감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모듈러 주택 공법은 육면체 박스 형택 단위 주택을 공장에서 만들어 현장에서 ... ...
- 불이익 알고도 오미크론 변이 공개한 첫 발견자 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인물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부소장,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를 개발한 존 점퍼 구글 딥마인드 수석연구원, 원주민이 생물다양성과 기후보호에 기여한다는 사실이 전 세계의 인정을 받도록 힘쓴 필리핀의 국제원주민활동가 빅토리아 타울리코르푸즈가 선정됐다. 또 말도 안 되는 단어로 내용을 채운 가짜 논문을 ... ...
- 원안위 비상임위원에 이수재 한국환경연구원 명예연구위원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이 신임 위원은 지질 분야 전문가다. 서울대 지질과학과를 졸업하고 1999년부터 한국환경연구원에 근무했다. 대한지질학회 이사,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이사회 이사 등을 역임했다 ... ...
- 서판길 뇌연구원장 연임 "지난 3년은 연구 기반 조성, 다음 3년은 뇌산업 육성 매진할 것" 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육성의 전진기지로 우뚝 성장토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한국뇌연구원은 국책연구기관으로 연구역량 강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무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 임직원이 혼신의 힘을 다해 국가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기관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임기 내 막중한 소명의식으로 최선을 ... ...
- [인사]한국원자력연구원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안전관리부장 장인수 △방사성폐기물관리센터장 김종진 △원자력안전관리실장 김태형 △ 원자력통제실장 김현조 △방사성폐기물총괄관리실장 장원혁 ...
- 로버는 화성서 물 흔적 찾고 헬리콥터는 3km 날았다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비생물학적 과정으로도 생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루서 비글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연구원은 “유기물과 광물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기물이 형성된 당시 환경을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2031년 후속 프로젝트를 통해 퍼시비어런스가 채취한 샘플을 지구로 회수해 올 ... ...
- 연말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1만명 넘을 듯…경기·인천·부산 큰폭 증가 전망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신규 위중증 환자는 1500명, 사망자는 157명까지 늘어난다고 전망했다. 권오규 수리연 연구원팀은 이달 7~14일의 누적 확진자 수와 통신데이터를 활용한 인구 이동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신규 확진자 수는 유지되지만 경기, 인천, 부산이 큰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 ...
-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IBS 단장, 막스플랑크 '칼 프리드리히 본회퍼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단장. IBS 제공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단장이 ‘칼 프리드리히 본회퍼 상’을 받았다. IBS는 하인리히 단장이 17일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화학연구소에서 칼 프리드리히 본회퍼 상을 받는다고 16일 밝혔다. ... ...
- 대전은 제어실, 경산엔 생산라인… 280km 떨어진 공장 실시간 제어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ETRI)은 대전 본원 11동 실험실과 경북 경산시 하양읍에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공장을 연결해 ‘5G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 원격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서비스 시연’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스마트공장은 사람 대신 로봇을 이용해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원격으로 공정을 제어할 수 있는 ... ...
- [산업게시판] 한컴인스페이스, 키논로보틱스와 서비스로봇 사업 업무협약 체결 外동아사이언스 l2021.12.16
- 자회사로 이번 계약을 통해 원자력연구원 연구소기업으로 새롭게 출범하게 됐다. 연구원이 개발한 기술은 최대 5.6mm 크기의 초소형 렌즈 3개를 조립해 약 4mm의 근초점에서 120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기술이다 ... ...
이전6316326336346356366376386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