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어린이과학동아
"
우리나라
"(으)로 총 6,414건 검색되었습니다.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인간이 만들 수 없는 무기는 없다 20세기가 시작되고 얼마 되지 않은 1914년 이전의 전쟁과는 비교도 안 될 사상자를 낸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납니다. 또 30년도 안 되어 그보다 훨씬 많은 사상자를 낸 제2차 세계대전이 발생 ... 과거 뿐 아니라 현재도
우리나라
의 무기는 뛰어납니다. 현재 성능이 우수한 국산무기를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 ...
모모와 함께한 해저 2만리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14
시속 5~9㎞로 8월에 가장 빠르게 흐른대.연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해류를 이용해 집에 갈 수 있다니 정말 다행이지? 그런데
우리나라
에 가까워질수록 마음은 별로 기쁘지 않아. 모모와 헤어지는 게 슬픈 걸까? 해저여행이 끝나고 나는 집으로, 그리고 학교로 돌아갔어. 지금쯤 모모는 아빠를 만났을까? 모모에게 편지가 오지 않아 아직 아무 것도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언제 나타날지 모르니 조심하라구. 우헤헤! 귀신에겐 미안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가 알고 있는 도깨비는 진짜가 아니다 도깨비는
우리나라
에서만 볼 수 있는 귀신입니다. 오래 된 빗자루나 짚신, 부지깽이 등이 변해서 된 것이니 엄밀히 이야기하자면 죽어서되는 귀신도 아니지요. 도깨비는 해만 끼치는 다른 귀신과는 달리 잘만 대해 주면 금은보화를 ...
나도 애니메이터가 되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14
한단다.
우리나라
의 애니메이션이 어떤 수준인지 알고 싶어요 미국이나 일본의 화려한 애니메이션들을 많이 봤을 거야. 그런데
우리나라
는 왜 그런 애니메이션이 없냐고 궁금해하는 친구들도 많을 것 같은데. 사실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기술만큼은 세계 최고란다. 또 많은 애니메이터가 미국과 일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피터 정처럼 세계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14
정체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게 있어요. ‘애니메이션’과‘만화영화’는 같은 걸까요? 만약 다르다면 어떻게 다를까요?
우리나라
에서는 만화영화란 단어가 익숙하지만 사실 만화영화는 애니메이션의 한 부분이랍니다. 여러 애니메이션 중 가장 인기가 많고 많이 만들어진 게 만화영화예요. 그런데 무척 신기한 역사적 사실이 있어요. 바로 인류가 애니메이션을 석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9
고리를 볼 수 있다. 성능이 그다지 좋지 않은 망원경을 사용했던 갈릴레오는 토성에 귀가 달렸다고 기록하였다. 지구에서 8.6 광년
우리나라
에서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별 중 가장 가까운 별은 큰개자리의 알파별인 시리우스다. 시리우스는 지구로부터 8.6광년 떨어져 있는 별로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가장 밝은 별이다. 지구에서 200만 광년 지구 ...
우리나라
최고의 현미경과 망원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우승했을까? mission 2 창던지기 우승자는 누구? 다음은 창던지기. 역시 유력한 우승 후보는 마사이족 선수인‘머라도 지버던저’였다.
우리나라
의‘한창해’선수와 러시아의‘던지며는 오키로’선수가 경쟁자다. 45도 각도로 던질 때 가장 멀리 나가며 위아래로 5도 차이가 날 때 마다 1m씩 거리가 줄어든다. 무게는 800g일 때가 가장 적당하고 1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그 뜨거운 열기 속으로 월드컵이 시작되기까지 딱 일주일 남았어. 지금 선수들은 어떤 마음일까? 가슴이 몹시 두근거리겠지? 한창
우리나라
선수팀이 전지훈련을 하고 있는 유럽으로 향했어. 혼자 가면 훈련장에 들어가는 것이 어려울 것 같아서 체육과학연구원의 구해모 박사와 함께했지. 구 박사는 내 초등학교 동창생이야. 현재 스포츠심리학에 관해 연구하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힘입은 걸까? 우리 대표팀은 4강 진출이라는 신화를 이뤄 냈다. 그 후 4년, 다시 월드컵이 돌아왔다. 벌써부터 축구팬들은 가슴 설레며
우리나라
의 경기를 기다린다. 8시간이라는 만만치 않은 시차로 대부분의 중계방송을 새벽에나 볼 수 있는데도 말이다. 축구라는 단순한 스포츠에 우리는 왜 이토록 열광하는 걸까? 황상민 교수와의 통화 축구 박사: 연 ...
이전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