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멋진 신세계」를 그리는 햇병아리 SF작가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용할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회원들이 편지로 필요한 정보를 전해주고 있다.(주소
서울
시 송파구 잠실본동 우성4차 Apt 105-503 권오상 138-229)한편 '멋진 신세계'는 무료대관시설을 이용해 걸작SF영화 시사회를 가지는 일도 추진중이다. 현재 거론되는 작품은 화성탐험을 다룬 '듄(Dune)', '2001년 우주의 ... ...
제3회 보람과학퀴즈대회 열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고취하기 위해 매년 겨울방학을 이용해 열리는 이 대회는 보라매청소년회관이 주최하고
서울
시내 중고교의 뜻있는 과학교사들이 문제출제에 도움을 준다.참가자들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기 위해 퀴즈의 형식을 빌리기는 하지만 단답식의 해답을 요구하는 일반퀴즈와는 달리 참가자들의 창의적인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응답을 해야만 작동되는 기능을 부가해 1대 1대화식 학습이 가능하도록 했다.이 발명품은
서울
올림픽 통역안내원 교육용으로 채택돼 진가를 이미 발휘한 바 있다. 북경아시안게임이 열리기 직전에는 중국에도 1백50대가 수출됐다. 현재 미국에서는 이 발명품은 1대당 1천50달러에 팔리고 있으며,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과학기술자문역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자문회의는 89년 6월5일 조완규 당시
서울
대 총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30명의 위원으로 90년 말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돼오다 급변하는 과학기술 여건과 수시로 발생하는 과제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상설기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라 금년 5월31일에 설치됐다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왜 하필이면 캄브리아기에 이르러 생물들이 「폭발적 번성」을 하게 됐을까?지구는 태양계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범위내의 우주에서 유일하게 생물이 살고 있는 곳이다. 왜 지구에만 생물이 있는가. 생물은 언제부터 지구상에서 살기 시작했을까. 옛날에도 현재와 같은 종류의 생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오는 95년에는 6억2천만달러에 이를 전망. 하지만 본격적인 제품연구는 아직 부진하다.
서울
대 성굉모 교수팀이 지난 2년동안 초음파 진단용 탐촉자를 개발해 일부 중소기업에서 생산해내고 있으며, KAIST의 김호기교수팀이 차세대 전화기용 압전세라믹스를 개발한 정도.기능성 신소재는 아직 ... ...
PC통신 확산의 밑거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얻기 시작했다. 하늘소가 잇따라 다른 소프트웨어들을 발표했고 하늘소의 활약은 지방과
서울
간의 격차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그전에 발표된 다른 제품보다 못하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하늘소팀은 꾸준히 문제점들을 파악해 수정해갔다.하늘소는 88년 10월 3일 개천절날 경북대 ... ...
(3) 과학동아 편집실이 뽑은 '6공'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강력히 주장하고 나섰다.블랙박스로 불리게 된 문제의 품질측정시스템은 89년 5월부터
서울
시내 각 전화국에 은밀히 설치됐다가 90년 국정감사 직전에 일제히 수거됐다 국회는 X-프로젝트로 불리는 이 시스템개발사업에 참여한 과학자들의 증인심문까지 벌이며 도청여부를 확인하려 했지만 이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나도 알고보면 허약한 동물이다. 알과 새끼일 때는 물론이고 다 커서도 번번이 당하기 일쑤니2억6천만년 전인 고생대(古生代)의 석탄기에는 늪과 기괴한 식물들이 자라 무성한 숲을 이루고 있었다. 또한 이상한 모양의 곤충들이 우글거리며 날아다녔다. 물속에서는 살갗이 번뜩이는 양서류가 먹이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신소재 연구가 아무래도 상품의 생산기술과 직결돼 있기 때문에 국내 대학의 연구수준은
서울
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대 경북대 등 몇몇 대학을 제외하고는 일천하다. 대학의 신소재 관련 학과로는 전자공학과(전자재료과 포함) 금속공학과 재료공학과(무기재료과) 고분자공학과 섬유공학과 ... ...
이전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