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진"(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세상처럼 다른 빛만 볼 수 있는 인간이 상상하기는 어렵다.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통해 나비와 꿀벌이 보는 세상을 유추할 수 있다. 자외선 감지 카메라로 꽃을 찍어보면, 같은 색으로 보이던 꽃이 꿀이 있는 중앙으로 갈수록 더욱 진하게 보인다. 인간의 눈에는 한가지 색으로 보이는 ... ...
- 인간 감각 흉내낸 생체모방 센서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이렇게 복잡한 눈의 구조를 모방한 대표적인 센서가 영상 카메라다. 흔히 볼 수 있는 사진을 찍는 카메라가 여기에 속하는데, 연속된 영상을 찍는 비디오 카메라를 생각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에 들어오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노출계는 눈의 홍채에, 영상의 배율과 초점을 ... ...
- 대입 면접고사 가이드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둥근 표면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경우를 산란됐다고 합니다.문 : 이건 달 표면 사진인데, 수많은 크레이터가 보이죠. 이건 화산 분출에 의한 것인가요, 아니면 운석 충돌에 의한 것인가요?답 : 운석 충돌에 의한 크레이터라고 알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모양이 화산 분출 때문에 생긴 ... ...
- 제9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전갈자리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대상 수상작품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올해로 9회째를 맞는 천체사진공모전에는 일반부문에서 42점, 청소년부문에서 15점 등 총 57점이 출품됐다. 지난해보다 출품작 수는 줄었지만, 이번 공모전에는 새로운 얼굴이 대거 등장하고, 만 18세 미만이 참가하는 청소년 부문을 신설해 ...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과학동아 l2001년 04호
- 27일에도 유사한 광경을 볼 수 있지만 26일만은 못하다.달과 행성이 어우러진 광경은 천체사진가들에게 절호의 기회다.거문고자리 유성군까만 하늘을 가로지르는 별똥별은 다른 말로 유성이라고 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특정 시간에 특정 별자리 주변으로 다수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 별자리 이름을 ...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대부분 적외선이므로 인공위성에서 지구 사진을 찍을 때는 적외선을 감지해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습니다. 온실효과란 지표가 방출하던 적외선이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의 온실기체에 흡수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인데, 적외선의 형태로 에너지를 흡수한 대기는 그중 상당량을 역시 ... ...
- 스티븐 호킹의 우주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수식 대신 한쪽에 1-2장 정도의 대형 컬러 사진, 특히 허블 우주망원경이 찍은 현란한 사진을 감상하면서 어릴적 꿈을 떠올리며, 내용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민 것이 특징이다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있기 때문에 달이 상하 좌우로 서서히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같은 모양의 달사진이라도 가장자리 경계가 달라지는 것은 칭동 때문이다.3. 보름달은 반달일 때보다 무려 열배나 밝다. 망원경으로 보름달을 볼 때는 눈을 보호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줄이거나 필터를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대장균 속에 가득차 있던 고분자(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가 없어졌다는 것이었다. 분명히 사진 속에도 있던 고분자가 거짓말처럼 사라진 것이었다. 당시 이교수는 대장균 속에 채워진 고분자가 분해돼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던 터였다. 그래서 대장균 배양액 바깥을 분석해보라고 ...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interspersed elements)와 함께 바이러스와는 구별되는 레트로트랜스포존(retrotransposon, RNA를 청사진으로 하여 유전물질을 운반하는 바이러스 같은 존재)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SINE는 보통 포유동물 종 사이에는 50-60% 정도, 그리고 단일 종 내에서는 80% 정도 유사성을 갖는 반복염기서열이다. SINE는 ...
이전629630631632633634635636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