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초파리도 실연당하면 술을 마신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역사학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연구비 시스템과 상위 학술지들의 독재에 저항해
교수
직을 정년보다 일찍 내려놓았다. 특이한 성격도 스승에서 제자에게 ‘유전’되는 모양이다.하루 종일 수다 떨어도 연구만 잘해벤저의 연구실은 특이한 분위기로 유명했다. 그들은 모여서 하루 종일 수다를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때문이다. 생물 진화에서 는 빅뱅과도 같은 사건이다. 영국 옥스퍼드대 앤드류 파커
교수
는 캄브리아기 폭발의 원인을 눈의 탄생에서 찾았다. 눈은 빛이라는 자극을 잘 활용한 동물이 자연선택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기관이다. 그리고 눈을 통해 세상을 인지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동물과 생태계는 ... ...
수학에 희망을 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과학자만큼이나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도 많다. 경문사는 이광연 한서대 수학과
교수
와 함께 2000년 이런 수학의 숨은 이야기를 담은 ‘웃기는 수학이지 뭐야’를 펴내기도 했다. 지금까지 10만 부가 넘게 팔렸으며 곧 국외에도 출간이 된다.가끔은 많이 팔리지 않을 걸 알아도 만드는 책이 있다.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했다. 그런 효과가 가능하다면 애당초 의약품이지 화장품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김승현
교수
는 “줄기세포 치료는 향후 의·생명분야의 핵심으로 떠오를 텐데, 미리 유사 줄기세포 치료와 구분해야 한다”면서 “일반인들이 혼란을 겪지 않도록 단어 선택에 선을 긋고, 과대광고를 하지 못하게 해야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다시 감싸 머리카락 10분의 1 두께의 얇고도 유연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었다. 이
교수
는 “이 연구로 휘어지는 전자제품 개발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을 넘었다”며 “앞으로 배터리의 충전용량만 더 늘리면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터리가 디자인을 혁신한다 최근에는 아예 전지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하더니 “부끄러운 연구는 많다”고 한다. 유학 시절 자신이 만났던 최고의 천재인 한
교수
를 보며 학문에 좌절을 느끼고 공부를 포기할까, 고민했다던 겸손함이 인터뷰 내내 배어나왔다. 책에서도 ‘허영’을 경계하더니, 사진을 찍을 때도 “이렇게 자신만만한 표정을 지은 적이 없다”며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현재 수준에 맞게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MIT의 인지과학자 조수아 테넌바움
교수
도 “30%라는 기준은 운이 좋으면 다른 컴퓨터도 통과 가능할 것”이라고 비꼬았다.구글에서 이사직을 맡고 있는 미래학자 레이 커즈와일 또한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인공지능이라면 종합적으로 판단해 ... ...
Intro. 21세기 시시포스의 도전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동물에서 만든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그런 세상이 올 줄 알았다. 그러나 황우석 전
교수
의 논문은 조작으로 밝혀졌고, 환자들의 기대는 절망으로 바뀌었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시시포스가 절벽에서 굴러 떨어지면서도 끝내 포기하지 않고 바위를 밀어 올리는 것처럼, 줄기세포 연구자들의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아주 못할 것은 없었다”며 넉살좋게 말했다. 학생 때 주전공이 ‘정자와 난자’였던 이
교수
에게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운명일수밖에 없었다. 그는 현재 세계에서 7건밖에 없는 (수정)배아줄기세포 치료제 임상연구 중 하나를 맡고 있다(망막 질환). 이 경험을 살려 복제배아줄기세포도 치료제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바이러스가 만든 고효율 배터리미국 MIT 재료공학과 앤젤라 벨커
교수
팀은 바이러스를 이용해 효율이 최대 3배 좋은 리튬공기전지용 나노촉매를 만드는 데 성공해 지난해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리튬공기전지는 현재 흔히 쓰이는 ... ...
이전
629
630
631
632
633
634
635
636
6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