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날틀에서 점보기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그만큼 항공기가 군사용으로는 물론 교통기관으로서 또는 산업 문화 기타 여러
분야
에서 그 역할이 매우 컸기 때문이다.흔히 항공기를 첨단 종합과학기술의 상징이라고 한다. 그래서 항공과학기술 수준이 곧 그나라 국력을 가늠하는 척도의 하나로 간주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는 항공산업의 시작이 ... ...
(2) 「서비스 질」개선, 회원확보의 열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는 뉴스 바둑 공개자료실 정도지만 이 서비스가 앞으로 개척할
분야
는 무궁무진하다. "컬러TV를 보다가 흑백TV를 못 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2,3년내에 컴퓨터도 '컬러'가 아니면 안되는 시대가 올 겁니다." IC네트의 한 관계자는 컬러화상이 전송되는 상용 통신망은 IC네트가 세계 ... ...
아시모프의 삶과 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왕성한 지적 호기심부터 채우려고 했던 것이다. 그가 처음 집필활동을 시작한 것은 SF
분야
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소년 아시모프가 그 당시 황금시대를 구가하던 SF에 끌렸으리라는 짐작은 쉽게 할 수 있다.여기서 잠깐 그 당시 'SF 황금시대'의 실체를 냉정히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제1차 대전에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으레 학자들에게 돌아가게 마련이었다. 그런데 이 상을 과학상 기술상 기능상 세
분야
로 나눈 것이다. 기능사가 교수와 나란히 국가에서 제정한 최고의 상을 받게된 것이다. 평생을 기계보수에만 매달려온 60대의 한 노인 은 교수와 나란히 기능상을 수상하고 그만 수상식 자리에서 울음을 터뜨렸다. ... ...
1 대기권을 뚫어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Supersonic Cruise Research)계획을 계속 추진해 초음속비행에서의 공력 구조 추진 등 모든
분야
에서 현저한 기술개발을 이룩했다. 그 결과는 고속군용기와 우주비행체에 적용되고 있다.미국 NASA는 고속민간수송기(High Speed Civil Transport; HSCT) 프로그램을 세워 차세대형 SST의 개발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
4 속도 따라 엔진이 변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지금까지 개발, 적용된 군사용의 특수목적 기술이 향후 상당기간에 걸쳐 민수용 항공기
분야
에 파급, 적용될 것이며 이에 따라 민간 항공기 시장이 크게 신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러한 주변환경은 우리나라와 같은 항공후발국 입장에서는 기존의 항공기술의 자체개발과 기술이전을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컴퓨터통신에서 가장 중요한 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분야
온라인처리
분야
의 경우에는 아직 초창기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정보산업의 균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원초적인 정보의 수집도 중요하고, 또한 이러한 정보를 가공하여 부가가치를 높이는 작업도 필수적이다. 즉 이미 ... ...
하이테크 압력식품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영양소의 원상보존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가압처리는 식품
분야
이외에도 많은 응용
분야
를 개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방약 등의 생약에 열을 가하지 않고 살균하는 방법등이다. 에너지 측면만 보아도 가열처리는 외부로 많은 양의 에너지를 낭비하지만 가압처리는 밀폐식이므로 거의 외부로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제치고 경도 1위로 부상한다.이렇게 열에 강한 면을 보임에 따라 CBN은 자동차 기계
분야
등 고온에 자주 노출되는 곳의 절삭용구로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 따지고 보면 열에 대한 다이아몬드의 취약성이 CBN의 인기를 부추겼다.새로운 아미노산 농축법 선보여비용 덜 들고 환경에도 좋은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어떻게 살았었는가에 대해 이해의 깊이를 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자연과학의 각
분야
들이 어떻게 상호 연관을 가지고 발전됐는가에 대해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주로 유럽의 과학 발달 과정을 기술하고 있지만 인도와 중국의 과학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과학의 역사'를 통해 앞으로만 ... ...
이전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6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