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07건 검색되었습니다.
슈퍼박테리아 잡는 신개념 항균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스웨덴의 비영리단체 ‘글로벌 챌린지스 파운데이션(GCF)’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은 향후 50년간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10가지 위험 중 하나로 꼽힌다.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박테리아’의 독성을 제거하는 물질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성균관대 항생제내성치료제 연구소 ... ...
가장 밝은 은하가 주변 은하를 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6
W2246-0526 은하는 2015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적외선 탐사위성인 와이즈(WISE)를 통해
발견
했다. 지구에서 124억 광년 떨어진 우주 초창기의 은하로, 태양보다 350조배 더 밝다. 태양처럼 밝게 빛나는 별의 존재 만으로는 이처럼 밝게 빛나기 어렵다. 천문학자들은 이 은하 내에 거대한 블랙홀이 주변 ... ...
비둘기 잡아먹는 까마귀 ‘포착’
팝뉴스
l
2018.11.15
한편 중요한 문제가 있다. 까마귀가 비둘기를 사냥했을까. 아니면 비둘기의 사체를
발견
한 것일까. 만일 앞의 경우라면 까마귀는 정말 무서운 새가 된다.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후자가 맞을 것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비슷한 크기의 새가 새를 먹는 장면은 충격이라고 말한다. ※ 편집자주 ... ...
KISTI, 인텔 병렬연산 프로세서 성능 개선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발광다이어도(LED) 소자를 연구를 했다. 그 결과, 발광 파장의 불안정성을 줄일 수 있음을
발견
했다. 류 책임연구원팀은 이 연구 결과를 지난 10월 국내특허로 출원했고 현재 특허권 승인을 받은 상태다. 류 책임연구원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반도체 소재 및 소자의 특성 계산연구는 물론이고 ... ...
길이 1cm 세계에서 가장 작은 '랩터' 발자국 화석 진주에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평가된다. 김경수 소장은 “발자국 길이가 1인 소형 발자국 화석은 보존되기도 어렵지만
발견
하기도 어렵기 때문에 세계적으로도 대단히 드물다”고 설명했다. 새 크기의 소형 공룡은 종류가 적기도 했고, 발자국이 호숫가 등에 남아도 쉽게 침식돼 화석이 되기 힘들다. 이 발자국 주인이 새끼 ... ...
그린란드 빙하에서 소행성 충돌 흔적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구성된 초대형 운석이 충돌하면서 생긴 것으로 분석했다. 히아와타 빙하에서
발견
된 충돌구를 생성시킨 운석은 비교적 최근에 충돌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충돌구는 시간이 지나면 주변 지형에 맞춰 평탄해지는 침식 과정을 겪는다. 커트 교수는 “침식은 빙하에서 더 빠르게 진행된다”며 ... ...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만들었을 것으로 분석됐다. 포 거치대로 추정되는 기둥구멍 2개도 포대 남쪽에서
발견
됐다.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은 1417년(태종 17년) 왜구의 침입을 방어할 목적으로 건설됐고 이후 행정과 군사의 요충지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시대 읍성 가운데 건립 연대가 정확하게 알려진 보기 드문 ... ...
마약중독치료제 및 항암제 후보물질 합성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동일성분의 물질을 새롭게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현재 자연계에서
발견
되는 많은 카타란틴 계열 천연물은 의학적, 산업적 효과를 확인하려는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현재 항암제로 쓰이고 있는 ‘빈블라스틴’도 이같은 기법으로 개발된 것이다. 천연물을 그대로 흉내내 ... ...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새로운 별 생성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기존에 알려진 전리수소 영역의 목록보다 약 1.5배 정도 많은 전리수소 영역 60여 개를
발견
했다. 천문연은 향후 연구대상을 전체 은하면으로 확장해 은하 내 별 생성과 진화 과정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5일 국제 학술지인 ‘천체물리학 저널 증보’에 게재됐다. ... ...
면역세포 제기능 못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염증성 도움 T세포가 될 때 전사조절 인자인 Id2 단백질의 발현이 높아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Id2 단백질이 조절 T세포의 분화와 발달, 기능을 관장하는 전사인자인 ‘Foxp3’의 발현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발성 경화증을 앓는 동물의 조절 T세포에서 Id2 단백질을 과발현 시킨 결과, 증상이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