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세우면 1:50=150:x, 즉 A 지점부터 학교 건물까지의 거리는 약 75m(7500cm)다!이 속도라면 오늘
안
에 동네 지도는 완성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제 세계지도는 시간 문제. 기다려라 ‘리틀 김정호’ 가 간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지도는 지구의 전개도?Part 1. 지도, 어떻게 그리는 걸까?Part 2. ... ...
왜 덧셈보다 곱셈을 먼저 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1+2를 먼저 하지 않고 2×3을 먼저 합니다. 1+2를 먼저 하면
안
될까요?규칙을 정했기 때문에
안
됩니다. 여러분은 직접 정한 규칙보다는 이미 정해져 있는 규칙을 따른 적이 훨씬 많을 거예요. 그럼 제대로 된 질문은 ‘왜 곱셈을 먼저 하자고 규칙을 정했을까요?’ 가 되겠지요.사칙연산을 나타내는 ... ...
Part 3. 디지털포렌식, 산업스파이를 잡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안
성수 부장검사는 “이런 디지털증거를 찾는 것이 요즘 수사에서 필수”라고 말했다. 천
안
함이 침몰하던 당시의 영상복원, 론스타 외환은행 불법 매각 사건, 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 등 다양한 수사에서 이미 디지털포렌식을 활용했다.범죄의 양상이 달라져 디지털포렌식의 범위도 훨씬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험에 필요한 철-텔루르 샘플을 가져오라고 했다. 그 학생은 새 샘플이 없자 몇 주동
안
공기 중에 방치해 놓았던 예전 샘플을 대신 가져갔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샘플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왜 그랬던 걸까. 연구팀은 공기 중에 방치해 뒀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여러 가지 실험을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장식장에 전시한 사람을 우표수집가라고 하지는 않는다는 말을 한 적이 있다. 100년 동
안
반복된 비바람을 겪지 않고는 묘목이 절대로 100년 된 노송이 될 수는 없다. 아기가 뒤집기를 하고, 걸음마를 하며 넘어지고 일어나기를 수십 번 반복하는 과정을 겪어야 비로소 뛸 수 있는 것처럼 수많은 도전과 ... ...
효모 인공포자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단세포 생물은 환경이
안
좋을 때 포자 형태로 변신해 오래 살아 남는다”며 “이에 착
안
해 효모의 인공포자를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세포로 이뤄진 바이오센서를 상용화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세포가 오래 살지 못한다는 것. 따라서 인공포자 기술은 바이오센서를 만드는데 핵심적인 ... ...
서울에서 즐기는 과학나들이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원형돔 ‘별오름’이 있다. 몽촌토성은 백제 초기인 3세기경 만들어진 토성이다. 성
안
에서 발굴된 항아리와 세발토기의 백제유물, 움집터가 발굴 당시 모습 그대로 전시돼 있다. 암사동 선사유적지는 약 6000년 전 신석기 시대의 우리 조상들이 살았던 취락지다. 미래 기술을 미리 체험할 수 ... ...
직업에서 취미를 찾은 ‘기상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깃발로 날씨를 알렸다는 방식은 알고 있었지만 우편물로 날씨를 예보했다는 것은 처음
안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배달물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카메라로 편지를 찍어 필름만 운송한 뒤 이를 현상해 목적지에 배달하는 신기한 형태의 엽서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그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질량이 왜소은하 정도여야 한다”며 “우리은하에 있는 구상성단은 대부분 우리은하
안
에서 생긴 게 아니라 왜소은하 규모의 천체가 우리은하에 붙잡히는 과정에서 중심핵만 남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우리은하가 여러 은하가 서로 합병되며 만들어졌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이 연구는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날개도 없는데다 너무 먹어대는 탓에 몸이 무거운 느림보다. 그래서 대부분 자기 영역
안
에만 머물고 활동 범위가 아주 좁다. 에너지를 되도록 적게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애벌레는 포식자에게 걸리지 않기 위해 위장하거나 은폐하고 뭔가를 흉내 내면서 꼼짝도 하지 않고 죽은 듯이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