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대 이그노벨상 수학상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눈을 감고 있는 시간을 기준으로 공식을 만들었다고 합니다.2002년에는 인도 케랄라농업
대학
교 카노스 스리쿠마르 교수가 코끼리의 신체 일부만을 측정해 몸 전체의 표면적을 계산할 수 있는 공식을 개발해 수학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다 자란 코끼리 24마리를 대상으로 신체 부위와 표면적의 관계를 ... ...
거친 파도의 비밀을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사람을 위협하는 거친 파도는 왜 일어날까요? 네일 아크메디브 교수가 이끄는 호주국립
대학
교 광학과학팀이 거친 파도가 일어나는 이유를 수학방정식을 이용해 밝혀 냈습니다.연구팀은 파도의 파동그래프와 빛의 파동그래프가 일치함을 방정식을 통해 알아 내고 이를 이용해 파도의 파동을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아침 어머니가 고등어를 구워 주시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
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기행문식으로 ... ...
분자의 특성은 생김새 따라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글 한은택·et3go@chol.com 서울대 화학교육과와 한양대 과학교육
대학
원을 마친 뒤 서울과학고 등에서 학생을 가르쳤다. 현재는 EBS와 종로학원에서 화학 강의와 자연계 논술·면접 강의를 하고 있다. 화학을 응용한 과학 통합문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데 관심이 있다. ...
돌에 새긴 별자리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글 최규윤·kychoi33@naver.com고려
대학
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
원을 수료했다. 현재 조동기 국어논술학원에서 논술을 강의하고 있다. 문학과 역사, 과학과 철학을 통합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학문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글쓰기에 매진하고 있다. ...
얼굴로 말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움직임을 읽으면 어떤 표정인지 알 수 있다.한국인의 표정이 다 모였다지난 2000년 연세
대학
교 인지과학연구소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표정 83개를 모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여기에는 영화나 드라마에서 캡처한 표정 1000여 장과 연극배우 6명이 각각 지어 보인 83개의 표정 사진 약 500장이 들어 ... ...
특별인터뷰 전국 여중생 수학탐구 발표대회 수상자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두송중학교의 황수민, 김은서, 안정민 친구가 새로운 암호를 주제로 발표해 이화여자
대학
교 총장상을 받았어. 어떤 암호를 만들었을까?안녕하세요? 수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암호에 흥미를 느낀 이유는 무엇인가요?일상생활에서 암호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요. 하지만 사람들은 암호의 ... ...
창의력은 융합에서 나온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남20세기의 저명한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에 얽힌 재미있는 일화가 있다. 힐베르트가
대학
교에서 학생을 가르칠 때의 이야기다. 어느 날 수업에 들어간 힐베르트는 한 학생의 자리가 비어 있는 것을 발견하고 무슨 일인지 묻는다. 다른 학생이 자리에 없는 학생은 수학을 그만두고 시를 쓰기로 ... ...
수학은 남자가 잘한다 vs 환경 탓이다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생각합니다. 이런 믿음은 과연 사실일까요?지난 10월 19일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대학
수학능력시험 결과에서 평균적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 점수를 잘 받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5년간 남학생의 수리영역 평균점수는 94.64점, 여학생의 평균점수는 86.56점으로 남학생이 8점 정도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공조가 부족한 것 같다”며 “한국의 교육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유치원생부터
대학
생까지 아우르는 우주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NASA는 기후변화, 환경 등을 우주기술과 접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그는 교육 분야에서 교과부와 항우연의 협력이 부족하다고 했지만 ... ...
이전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6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