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07건 검색되었습니다.
[레디!퓨전] 상용화 정조준 소형 핵융합로, 반백년 기초연구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9.15
내부에 가둬 놓는다. 이를 '낮은 하이브리드 전류 유도(LHCD)'라고 한다. 그러나 물리
학계
가 약 40년 간 풀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플라즈마 밀도를 높이면 전류를 유도하는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다. 백 연구원은 "빵(전류)이 10조각, 플라즈마도 10개 있을 땐 빵 1조각 씩 나눠가지면 되는데 플라즈마만 10 ... ...
"기초과학 경쟁력 좌우 중이온가속기, 예산 삭감에 내년 반년만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발견에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기존 원자구조 이론과 다른 원자의 특성을 관찰해 물리
학계
를 뒤흔든 일본 도쿄공대 연구팀의 '산소-28' 희귀동위원소 발견 연구에선 고성능의 중이온가속기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한국의 중이온가속기 기술은 일본 등 선진국들에 비해 한참 뒤쳐진 것으로 ... ...
알수 없는 천체 ‘오우무아무아’ 정체, 또다시 뒤집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14
운동을 한다’는 유력 가설을 뒤집는 논문을 제시한 바 있다. 이후 2023년 상반기 천문
학계
에서는 오우무아무아가 수소 얼음과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어 성간물질을 통과해도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는 새로운 이론이 제시됐다. 성간물질이란 별과 별 사이 비어있는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와 ... ...
[레디!퓨전] 韓 주도 세계 최대 핵융합실험로 현장 가보니…"퍼스트무버 시행착오 감내"
동아사이언스
l
2023.09.11
중에서도 '퍼스트 무버' 역할을 하면서 감내해야 할 부분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학계
일각에선 플라즈마 생성 실험이 연기되면서 ITER 프로젝트가 또한번 거대한 암초에 부딪힌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관련해 캐서린 맥카시 미국 ITER 프로젝트 책임자는 최근 영국 옥스퍼드에서 열린 ... ...
[주말N수학] 국제수학올림피아드 출신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09.09
“송 교수와 밥을 먹으면서 어떤 연구를 하는지 들었거든요. 지금까지 동형암호 기술은
학계
위주로 발전해왔는데 이제는 산업에서 상용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단계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어요. 그래서 동형암호라는 아이템으로 창업했지요.” 동형암호는 암호화한 상태에서 데이터를 ... ...
140만년 전 '둥근 공'의 정체 규명…"고대인이 만든 공예품"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라고 이름을 붙였으나 이들을 제작한 뚜렷한 목적은 찾을 수 없었다. 당시 고고
학계
는 다른 도구를 만들며 생긴 파편일 것이라고 추측했다. 앤소니 뮐러 박사가 이끈 연구팀의 분석 결과 스페로이드는 호모 에렉투스가 특정 목적을 갖고 인공적으로 깎아 만든 공예품임이 드러났다. 3D 분석 ... ...
IBS, 뇌 인지 기능 핵심물질 '가바' 작동원리 총망라
동아사이언스
l
2023.09.06
유지되는 것처럼 뇌 안 가바의 양과 활동 수준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한다.
학계
에 알려진 것과 달리 가바 전류의 억제 효과가 흥분성 신호를 우회로를 통해 국소적으로 감소시켜 흥분성 신호의 효과를 줄이는 ‘우회성 억제’를 통해 나타남을 보여줬다. 가바가 억제성을 갖고 있지만 ... ...
김성근 포스텍 제9대 총장 공식 취임…"포스텍 제2의 도약 이끌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김성근 포스텍 제9대 총장(오른쪽). 포스텍 제공 김성근 포스텍(POSTECH) 제9대 총장이 5일 포항 포스코 국제관에서 취임식을 열고 공식 취임 ... 포항시의회의장, 최도성 한동대 총장, 최정우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 이사장 등 국내·외
학계
·정관계 인사를 포함한 교직원, 학생들이 참석했다. ... ...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유전자 발현 조절의 핵심 요소인 3차원 유전체 구조의 기본 단위(TAD)를 밝히는 것은
학계
의 과제였다. 앞서 동물 모델에선 3차원 TAD가 CTCF 단백질과 코헤신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바 있다. 식물을 비롯한 일부 생물종에서는 TAD가 존재하지 않아 3차원 유전체 구조의 ... ...
고집적 차세대 반도체 상용화 '물꼬'…성능저하 잔여물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9.05
문제는 TMD 반도체 물질 위에 PMMA 잔류물질이 남아 소자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것이었다.
학계
에선 다양한 유기물질을 사용해 PMMA를 대체할 지지체를 찾아왔지만 여전히 잔류물로 인한 전자적‧역학적 손실을 피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PMMA 대신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PPC) 지지체를 사용해 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