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목표궤도에 안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2
등 상태가 양호함을 확인했고 발사체를 통해 도달하는 최초 타원궤도에도(근
지점
484km, 원
지점
508km)에도 성공적으로 안착한 사실을 확인했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 발사 성공으로 국내 첫 양산형 위성 제작 시대가 열린 것으로 평가된다. 차세대중형위성 개발사업은 정부와 출연연구기관인 ... ...
한국이 양산 목표 첫 중형위성 쏘는 날 일본 첫 양산형 민간위성 4기 우주로
2021.03.20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악셀스페이스는 2023년까지 위성을 10기로 늘려 같은
지점
을 하루 한 차례 촬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악셀글로브의 강점에 대해 야마자키 CBO는 “사람들은 소형위성 영상 시장에 대해 해상도와 같은 요소가 중요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실제 시장에서는 고객에게 ... ...
[프리미엄 리포트] 반복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대량 살처분만이 정답일까
과학동아
l
2021.03.20
영국 등은 감염병 발생 농가에 한정 지어 24간 이내로 살처분을 진행한다. 감염병 발생
지점
으로부터 반경 3km 안에 있는 농가는 역학조사 후 감염이 있다는 결과가 나오면 그때에서야 살처분한다. 그저 관습 때문에 예방적 살처분이 이뤄진다는 비판도 있다. 살처분은 별다른 대안이 없던 18세기 ... ...
[화성사운드트랙] 퍼시비어런스가 착륙한 화성 분화구에서 들리는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상층 대기권에 시속 2만 100km로 진입한 뒤 230초 후 시작된다. 화성 표면에서 11km 떨어진
지점
이다. 가로 46cm, 세로 66cm로 압축됐던 낙하산이 1초 만에 21.5m 너비로 펴지면서 감속을 시작한다. 이후 화성 대기에 들어가면서 퍼시비어런스를 대기 마찰열로부터 보호한 열 보호 방패가 화성으로 떨어져 ... ...
[화성사운드트랙] 슈퍼캠이 녹음한 화성의 바람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바위가 낸 소리 중 일부는 다른 소리보다 조금 더 크게 들린다. 이
지점
이 경도가 더 강한
지점
인 셈이다. 슈퍼캠에 달린 마이크는 NASA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와 프랑스 국립우주연구센터(CNES)가 공동으로 개발했다. 로저 바인스 NASA 로스알라모스국립연구소 슈퍼캠 수석연구원은 “8년 전 이 악기를 ... ...
[화성사운드트랙]'덜컹덜컹' 화성을 달리는 퍼시비어런스의 저속주행음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시작될 전망이다. 퍼시비어런스는 착륙
지점
주위를 돌며 인지뉴이티를 날리기 적합한
지점
을 탐색해 왔다. NASA는 17일 인지뉴이티의 발사 시험장을 정한 상태라고 밝히며 23일 자세한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인지뉴이티는 지구의 31일에 해당하는 화성일 기준 30일간 최대 5회 시험비행을 ... ...
아라온호, 139일간 항해 끝 귀환…남극에 해저지진계 설치
연합뉴스
l
2021.03.18
지난해 8월 이후 규모 4.0 이상의 지진이 170차례 넘게 감지됐다. 그러나 지진이 발생한
지점
기준으로 반경 100㎞ 안에는 아르헨티나 지진관측소 1곳뿐이어서 한국 연구원들은 정확한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극지연구소는 이번 지진계 설치로 남극 지진 연구에 한국의 영향력이 커질 ... ...
지구 두 차례 위협한 소행성 자전 속도 빨라지고 있다…충돌 위험 커질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아포피스는 2029년 4월 14일 지구에서 매우 가까운 3만1000km 떨어진
지점
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천문연은 이 시기에 맞춰 탐사선을 아포피스에 보내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박사후연구원은 “아포피스의 경우 최근 지구와의 충돌 확률은 더 낮아진 것으로 ... ...
"동아시아 내륙 사막화 돌아갈 수 없는
지점
건넜다" "최악 폭염·산불 한반도 더 자주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확인됐다. 정 교수는 “동아시아 내륙 지역의 사막화가 ‘돌아올 수 없는(irreversible)’
지점
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국내에서도 최근 여름철 급성 가뭄이나 산불 증가 등 이미 직접적 결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버몬트대에 다시 돌아왔다. 그들의 손에 들어온 건 그린란드 북서 해안에서 120km 떨어진
지점
에서 시추한 코어 시료였다. 1960년대 미군 기지인 ‘캠프 센추리’에서 그린란드의 얼음 코어를 시추한 모습. 버몬트대 제공 논문의 제1 저자인 앤드루 크라이스트 버몬트대 군트환경연구소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