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연세대"(으)로 총 1,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매-자폐증 치료법 찾으려면...'뇌 기증'부터 활발해져야"동아사이언스 l2021.03.05
- 1994년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후 대학원에서 신경병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3년 연세대 의대 교수로 부임했다. 여러 질병 중에서도 특히 뇌 신경 질환 쪽에 집중해왔다. 이런 연구 경력을 인정받아 올해 1월 제4대 한국뇌은행장에 선임됐다. 한국뇌은행은 인간 뇌자원을 확보, 관리해 이를 ... ...
- [인사] 연세대의료원동아사이언스 l2021.03.04
- 김태임 △연의-생공연 메디컬융합연구소장 허용민 △뇌전증연구소장 이준수 ◇연세대 치대 △구강병리학교실 주임교수 김현실 △치주조직재생연구소장 최성호 △통합치의학과장 박원서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장 김태일 △호흡기내과장 박무석 △내분비내과장 이병완 △신장내과장 ... ...
- [102주년 3.1절]독립운동 곁을 지킨 그 시대 과학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03.01
- 운동이 과학기술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습니다. 도움 노재훈(연세대학교 예방의학교실 교수), 박윤재(경희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병철( 저자), 이은영( 저자, 성균관대학교 초빙교수), 이태진(서울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임종태(서울대학교 ... ...
- 800 병상 규모 송도세브란스병원 첫 삽...2026년 12월 개원동아사이언스 l2021.02.24
- 이원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장, 유경선 연세대 총동문회장, 정일영 국회의원, 정창영 전 연세대 총장, 윤동섭 연세대 의료원장, 허동수 학교법인 연세대 이사장, 박남춘 인천광역시장, ... 바이오 기업 및 지역 주민 대표 등이 참석했다. 송도세브란스병원 조감도. 연세대의료원 제공 ... ...
- 섭입대 지진 새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1.02.22
- 제공 지각이 충돌하는 곳에서 지진이 일어나는 새로운 원리가 밝혀졌다. 이용재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지각의 40%를 차지하는 가장 풍부한 광석인 장석이 땅속 깊은 곳으로 들어가면서 점토광물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고 지진 발생과 마그마 성분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 ...
- 면역 거부반응 없는 환자 맞춤형 인공근육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1.02.21
- 근육 제작 플랫폼이 개발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조승우 나노의학연구단 연구위원(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연구진과 함께 근육 손상 질환 치료를 위한 맞춤형 인공 근육 제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움직임에 필요한 근육 중 뼈나 힘줄에 ... ...
- [프리미엄 리포트]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02.20
- 내용이 된다는 의미로, 자신이 쓴 논문이라도 마음대로 활용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연세대 공대의 한 연구원이 2004년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레터스(APL)’에 발표한 논문이 다른 학술지에 이미 발표된 것을 짜깁기한 내용이라는 사실이 2006년 밝혀진 사건이 있다. 당시 연구원의 소속 대학은 ... ...
- [의학바이오게시판] 아시아당뇨학회 리더십상에 윤건호 서울성모병원 교수 外동아사이언스 l2021.02.17
- 7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다. ■한국뇌연구원은 16일 제4대 한국뇌은행장에 김세훈 연세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가 임명됐다고 밝혔다. 한국뇌은행은 201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인간 뇌 자원을 확보·관리해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공급하기 위해 뇌연구원 내에 설치됐다. 김 ... ...
- 日 후쿠시마 앞바다 7.3 강진은 10년전 동일본 대지진 여진(종합)동아사이언스 l2021.02.14
-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의 여진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홍태경 연세대 지구시스템과학과 교수는 “동일본 대지진은 12만km²의 면적에 이르는 매우 넓은 단층면이 쪼개질 만큼 이례적으로 큰 지진이었다”며 “당시 단층면이 쪼개지면서 쌓여 있던 응력이 분출됐고, 이렇게 ... ...
- [주말N수학]수학에서 사회문제 해결 실마리 찾는 사회학자 수학동아 l2021.02.13
- 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분석하는 데까지 매우 폭넓게 수학이 쓰이고 있다. 강정한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수학으로 사회 현상을 읽는 법을 연구하는 국내 몇 안되는 수리사회학자다. 강 교수는 1996년 서울대 수학부(수리과학부)에서 학사학위를, 2년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사회학으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