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뉴스
"
손가락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300만 년 전 살았던 새 인류, ‘호모 날레디’
2015.10.07
짧아 현생 인류와 신체 비율이 비슷한 호모 에렉투스의 발과 비슷하지만, 오히려 굽은
손가락
과 어깨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와 비슷하다”며 “사람과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징을 혼합해 놓은 듯한 모양은 이전에는 본 적 없는 조합”이라고 말했다. ... ...
‘휴보’도 못 가진
손가락
단 산업용 로봇 첫 개발
2015.10.01
수 있도록 추가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배 연구원은 “사람 손처럼 물건에 따라
손가락
모양을 바꿔가며 물건을 집어 들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면서 ”사람과 부딪히면 저항하지 않고 즉시 팔에 힘을 빼주는 기능도 갖고 있어 산업 현장에서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 ...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09.27
후대의 형질이 나타났지만,
손가락
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보다 굽어 있었다. 굽은
손가락
은 나무타기의 흔적으로, 원시적인 특징이다. 그밖에 척추는 호모 속의 특징을, 갈비뼈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적인 특징을 보였다. 날레디는 이렇게 한 종 안에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성질과 호모 속의 ... ...
황창규 회장 “인터넷 보안서 5년후 매출 1조 달성”
동아일보
l
2015.09.24
‘위즈스틱’을 소개했다. 위즈스틱은 KT가 개발한 네트워크 기반 휴대형 보안 플랫폼.
손가락
만 한 기기를 PC에 꽂기만 하면 파밍 사이트 접속과 웹캠 해킹과 같은 사이버 위협을 원천 차단해 준다. 이 서비스는 올해 말 상용화된다. 황 회장은 건물의 에너지 관리를 대신해 주는 스마트 에너지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현생인류와 가깝지만 약간 휘어져 있어 나무를 타는데 적합하다. 반면 손바닥과 엄지
손가락
은 현생인류처럼 도구를 다루는데 적합하다. - eLife 제공 ● 연대 측정 아직 안 돼 있어 그럼에도 이번 발표에서 가장 실망스러운 부분은 연대측정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발굴지가 오랜 ... ...
출동! 일일 과학수사관, 돈을 훔쳐간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14
범인인 셈이죠. 하지만 범인의 지문을 자세하게 알아볼 수는 없었어요. 범인의
손가락
이 깨끗했다면 지문이 선명하게 남지 않을 수 있거든요. 일일 과학수사관들은 지문을 좀 더 정밀하게 채취하기 위해 형광분말을 사용하기로 했어요. 붓을 이용해 형광분말을 묻혀 지문이 있는 곳을 부드럽게 ... ...
한국형 구두표준 만든 ‘신발박사’의 30년 구두인생
2015.08.05
보좌진에게 “구두 표준 사이즈를 개발하라”고 지시했다. 곧바로 당시 KIST에서
손가락
길이, 엉덩이 둘레 같은 국민표준체위를 조사했던 조 전 연구원이 연구를 맡게 됐다. 그는 전국을 돌며 8000명의 발 치수를 쟀다. 이를 토대로 발 길이와 둘레를 감안해 자신에게 맞는 구두를 선택할 수 있도록 1 ... ...
봉한선과 림프선
2015.08.03
경혈(經穴)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다. 경혈은 침이나 뜸을 놓는 자리다. 허리가 아픈데
손가락
발가락에도 침을 놓는 건 우리 몸이 경혈과 경락으로 연결돼 있기 때문이다(물론 한의학계의 주장이다). 흔히 경혈과 경락을 통해 우리 몸의 기(氣)가 흐른다고 말한다(그런데 기의 실체는 뭘까?).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최초의 인간형 로봇 ‘휴보(HUBO)의 아버지’로 알려진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손가락
5개가 달린 인간형 로봇의 손을 들고 등장했다. 앞줄에 앉은 참가자들은 로봇 손과 직접 악수하며 잠깐이나마 생생한 로봇공학의 세계를 경험했다. 오 교수는 지난달 초 미국에서 열린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박사(오른쪽). - 서울대 제공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 같은 공상과학(SF) 영화에서는
손가락
동작만으로 모니터 화면을 움직이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국내 연구진이 스마트워치와 같은 웨어러블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변형센서를 개발해 영화 속 장면을 현실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