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게재
기입
끼워 넣기
추가
투입
뉴스
"
삽입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기술도 눈길을 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송용원 책임연구원팀은 콘택트렌즈에
삽입
할 수 있는 당뇨 측정 센서와 미세관 등 관련 기술을 개발해 국내 특허를 출원했다. 당 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피를 뽑을 필요가 없게 된 것이다. 향후 현재 개발 중인 렌즈 안에 통신 장치를 내장하는 기술만 ... ...
언어유전자, 학습 능력 ↑
2014.09.16
‘언어 유전자’로 불린다. istockphoto 제공 연구팀은 쥐에게 사람의 Foxp2 유전자를
삽입
해 단백질로 발현시켰다. 그 결과 사람의 유전자가 들어 있는 쥐는 일반 쥐보다 T자형 미로에서 먹이를 찾는 능력이 20% 향상됐다. 먹이가 미로 속 어떤 위치에 있는지 더 빨리 배울 수 있게 된 것이다. 앤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아프지만 뇌 자체는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못 느낍니다. 의료진들은
삽입
된 위치가 정확한지 뇌와 손의 실시간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올린을 켜게 했습니다. 그랬더니 실제로 수술 초반 심하게 떨리던 손이 점차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작년에는 같은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김 교수팀은 이렇게 개발한 탐침을 간질을 유발하는 약물을 투여한 쥐의 뇌에
삽입
해 신경신호를 측정한 결과 간질을 일으키는 뇌의 특정 영역을 정확히 찾아냈다. 또 낯선 쥐를 우리안에 집어 넣자 쥐의 뇌신경이 과민반응을 보이는 현상도 탐지하는데도 성공했다. 김 교수는 “뇌 ... ...
혈관에 ‘팔찌’ 채우니 동맥경화 ‘끝’
과학동아
l
2014.08.03
또 이 장치는 2주면 분해 되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을 이용해 만들기 때문에 몸 안에
삽입
해도 스스로 분해된다는 장점이 있다. 장치를 제거하기 위한 수술을 따로 받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다. 류 교수는 “이 장치는 약물전달 외에도 혈관우회로 수술 부위에 장착해 혈관이 막히는 현상을 ... ...
구글보다 좋다, 이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2014.07.25
기술을 개발했다. 송용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팀은 콘택트렌즈에
삽입
할 수 있는 당뇨 측정 센서와 미세관 등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올해 1월 구글이 비슷한 개념의 의료용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지만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센서가 ... ...
사지마비 환자 뇌에 칩… “생각만 했는데 손이 움직여요”
동아일보
l
2014.06.26
동아일보] 美연구팀 세계첫 실험 성공, 주먹 쥐고 펴고 숟가락 집기도 뇌에
삽입
한 마이크로칩을 이용해 사지가 마비된 환자의 손을 본인 의지대로 움직이는 실험이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절단된 팔에 로봇 손을 부착해 물건을 움직인 실험은 있었지만 마비됐던 손의 운동 기능을 칩으로 되살린 ... ...
안전하고 유연한 생체연료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2
제조가 가능할 만큼 유연하고 체액 내에서도 전력생산 효율과 안정성이 뛰어나 고성능의
삽입
형 의료기기 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노벨상 받은 ‘iPS세포’, 암 일으킬 지도
과학동아
l
2014.06.11
교수는 “이런 현상이 체내에서 일어난다면 종양이 발생할 수 있다”며 “외부유전자를
삽입
하지 않고 iPS세포를 만드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현재 외부유전자를 하나만 쓰고도 iPS세포를 만드는 방법이 개발됐으며, 외부유전자를 체세포에 넣을 ... ...
혈관 속까지 검사하는 내시경 나온다면?
과학동아
l
2014.06.11
방법도 개발돼 진료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또 미세한 크기의 내시현미경을 혈관 속에
삽입
하는 방식에 대한 연구도 한창이다. 오왕열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13일 오후 6시 30분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에서 ‘Seeing Inside Human Body: 내시현미경을 이용한 질병의 진단’이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