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파리는 호메오유전자 8개가 3번 염색체에 나란히
배열
돼 있는데 놀랍게도 초파리 배아가 발생할 때 발현되는 공간적 순서와 일치한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원래 안테나페디아 유전자는 두 번째 가슴체절에서만 발현돼 날개와 두 번째 ... ...
[메리 크리스마스 특집] 오늘밤 제일 바쁜 산타 썰매의 비밀
2014.12.24
마법 주머니 안쪽에는 강력한 전자기장 발생장치를 넣어서 탄소가 열역학법칙을 거슬러
배열
되도록 만든다. 그러면 산타클로스가 집을 방문할 때 통과하는 굴뚝에서 탄소를 모아 원하는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선물을 줄 ‘착한 어린이’는 어떻게 선정할까? 실버버그 교수는 착한 ... ...
[이게 궁금해요]로타바이러스 장염 탈수 위험… 아기 8시간 소변 안보면 병원가야
동아일보
l
2014.12.22
균주를 이용해 만들어 2번 접종하는 백신, 동물 균주와 사람 균주를 유전자조합으로 재
배열
해 만들어 3번 접종하는 백신 등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 백신 모두 유행하는 5가지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을 예방할 수 있죠.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생후 6주부터 접종할 수 있습니다. 특히 생후 3개월부터는 ... ...
양자컴퓨터의 핵심 ‘스핀방향’ 제어 실마리 찾아
2014.12.17
다른 스핀에 미치는 영향이 예상보다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나노 자성체
배열
을 특정한 간격으로 했을 때에는 나비효과로 알려진 혼돈 현상이 지배적으로 작용해 스핀 방향이 무질서하고 예측불가능한 상황이 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이 교수는 “그동안 이 분야 연구자들은 혼돈 현상과 ... ...
그래핀에 올빼미 그렸더니…
2014.12.10
결과 탄소 원자 6개가 6각형 모양으로
배열
돼 있어야 할 곳에서 5각형이나 7각형 형태로
배열
된 그래핀이 뒤섞여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축전기로 전기를 저장하는 성능을 측정한 결과 일반적인 탄소 축전기보다 전자를 많이 충전할 뿐 아니라 9000번 이상 충·방전을 반복해도 성능이 거의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를 공개했다. 핵심은 지름 5cm의 평범한 볼록렌즈 4개를 특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열
하는 것. 맨 앞의 렌즈부터 마지막 렌즈까지의 거리는 90cm다. 맨 뒤에 있는 볼록렌즈가 뒤쪽 배경이 되는 모눈종이의 시각정보를 앞으로 전달한다. 최 연구원은 “맨 뒤의 볼록렌즈와 바로 앞 볼록렌즈 사이의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처리했을 때 만들어지는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다. 특히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
돼 있어 전극 사이의 간격이 균일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다. 연구진은 이 나노동공에 전기를 생성시키는 전해질을 넣고 양쪽 구멍 끝부분에 오산화바나듐이라는 금속화합물을 첨가해 양극과 음극으로 ... ...
이제는 입체가 대세, 3차원 그래핀 온다
2014.11.10
그래핀 소재의 특성을 유지했다. - 성균관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를 벌집 모양으로 평면에
배열
한 2차원 구조로 투명하면서도 전기가 잘 통하는 특성이 있어 미래 신소재로 꼽힌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지금까지 2차원 구조로만 제작이 가능했던 그래핀을 3차원 입체구조로 만들 수 ... ...
대한민국 여성 세종기지 월동연구원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21
지닌 세밀한 모습에 빠져들었답니다. 각기 다른 모양이 정교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된 것을 보며 '정말 신이 존재 할 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어요. '어떻게 이렇게 정교한 모양이 각기 다를 수 있지? 어떤 종류가 얼마나 있는 거지? 이렇게 추운 곳에서 어떻게 자라는 걸까?'라는 질문이 ... ...
숨은그림찾기, ‘전자피부’ 어디 붙어 있을까요?
2014.10.20
그래핀으로 대체해서 투과도 91%를 달성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
된 얇은 막으로, 신축성과 전기 전도성이 좋아서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특히 연구진은 지금까지 그래핀의 단점으로 지적돼 온 높은 전기저항을 극복하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을 저항이 낮은 투명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