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축물
건조물
구성물
건물
구성
구조
조직
뉴스
"
구조물
"(으)로 총 674건 검색되었습니다.
팔만대장경이 A4 한 장에
2014.11.12
가스 센서와 과일 표면의 잔류 농약을 검출하는 센서를 제작했다. 또 피부 표면에 나노
구조물
을 인쇄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정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이론적으로 팔만대장경을 A4용지 한 장에 인쇄할 수 있다”며 “유연 디스플레이나 극미량의 물질 탐지 센서, 촉매 등의 제작에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그 결과 가로세로 각각 1cm의 손톱만한 넓이에 20억 개의 나노 배터리가 들어 있는 초소형
구조물
을 완성했다. 이상복 메릴랜드대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동공 베터리. 구멍 하나가 하나의 배터리다. - 메릴랜드대 재료공학과 제공 이 배터리로 실험한 결과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12분 ... ...
종이처럼 접히는 마이크로 로봇 나왔다
2014.11.06
나준희 매사추세츠주립대 박사후연구원은 “자발적인 가역반응이 가능한 3차원 미세
구조물
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저널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첩보위성 장착 가능한 고성능 우주 반사경 국내 독자 개발
2014.11.05
유리소재의 두께를 절반으로 줄이고, 대신 1년 6개월의 시간을 투자해 반사경을 지지하는
구조물
을 더 튼튼하게 만들었다. 우주용 반사경은 태양빛을 받는 등 우주 환경에 따라 모양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변형을 막는 노력도 필요했다. 연구팀은 ‘열진공 챔버’라는 가상 우주공간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문제가 있다. 유필진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은 마이크로 수준의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물
틈새에 1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을 맨홀뚜껑 모양으로 낸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표면적이 넓어져 ... ...
뇌 손상 회복시키는 ‘착한’ 단백질 발견
2014.09.24
17일자에 발표했다. 뇌수막은 외부로부터 뇌조직을 보호하기 위해 뇌를 둘러싸고 있는 막
구조물
이다. 뇌가 외부 충격을 받을 경우 뇌수막 세포가 이동해 손상된 뇌수막을 재구축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어떤 방식으로 일어나는지는 밝혀진 것이 없었다. 연구진은 뇌 손상을 입은 쥐의 뇌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표현한 것이다.
구조물
주위에
구조물
과 연결되지 못한 채 각각 남겨진 뉴런이 이
구조물
의 정체를 암시한다. 아론 바티스타 미국 피츠버그대 박사팀은 이 신경세포 네트워크는 학습을 할 때 새로 생긴다는 연구 결과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7년생과 8년생 레서스원숭이 ... ...
옷 위에도, 종이 위에도, 나노
구조물
이 딱!
2014.08.19
“4, 5년 안에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종이 위에 나노
구조물
을 쌓아 고감도 현장 진단형 바이오센서를 만들어 병원체나 유해물질을 즉석에서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도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지원하는 ... ...
2014년 여름, 우리가 바다로 나가는 까닭은?
2014.08.10
기술력의 핵심에는 ‘짐벌(Gimbal)’이 있다. 짐벌은 물이나 공기 위에 떠 있는
구조물
이 움직임이나 기울임에 상관없이 원 상태를 유지하도록 주는 지지 장치를 뜻하는데, 파도에 흔들리는 배의 움직임을 육지에서 그대로 구현할 수 있다. CJ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명량’은 길이 30m짜리 ... ...
‘소금 이불’ 덮고 자는 대장균
과학동아
l
2014.07.28
쓰는 것은 0.15M(몰) 농도의 소금물. 그런데 최근 대장균이 이 소금물을 이용해 특이한
구조물
을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조지 고메즈 스페인 발라돌리드-CSIC대 교수는 대장균이 소금물을 이용해 만든 얇은 필름을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를 ‘우주생물학’지 11일자에 발표했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