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편"(으)로 총 5,0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감출 필요가 없어졌지요. 그 결과 오늘날 집토끼에게선 이 습성이 아예 사라졌답니다. 한편 이곳저곳에 턱을 비비는 습성은 아직도 남아 있어요. 굴토끼 턱에서는 고약한 냄새가 나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 물질은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 역할을 해요. 그래서 가구 모서리나 장난감, 동료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시간은 60분, 1분은 60초지요. 60진법은 이렇게 60을 기준으로 단위가 올라간답니다. 한편, 디지털에서는 2진법이 쓰여요. 10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 열 가지 수를 사용하지만 2진법은 0과 1만을 사용해요. 컴퓨터가 구분할 수 있는 경우가 전기가 켜졌을 때와 꺼졌을 때로, 두 개이기 때문이에요.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서열만으로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예측할 수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서 한군섭 북한 리과대학 자연과학연구원 연구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구조정확도 평가 항목(로컬 부문)에 참가해 1위를 차지했다. 이 항목의 경우 전체 단백질 구조 정확도를 평가하는 글로벌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닿지 않는 심해 환경에서 생물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기도 합니다. 한편 이 과정에서 구리나 아연 등 각종 유용한 금속이 밀집한 심해 열수광상이 만들어지는데, 오늘날 세계 각국은 그 잠재 가치에 주목하고 이를 선점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습니다. 필자가 속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생각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생각한다며, 언젠가 컴퓨터가 사람보다 더 깊고 넓게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지요. 한편 가설2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신경회로만으로는 ‘이해’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는 이해하고 생각할 수 없다고 여겨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자연에서 채집한 유생 중 가장 작은 것은 부화한 지 몇 주가 지난, 크기가 2mm 정도였다. 한편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가 최근 갑오징어 양식 기술을 개발하는 데는 성공했다. 오징어와 갑오징어는 생김새나 식감이 매우 닮았지만, 결정적으로 생태와 한살이가 달라 양식 기술도 다르다. ... ...
- [과학뉴스] 새 역사를 쓴 뉴호라이즌스호와 창어 4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대학교 천문학 박사인 브라이언 메이가 작곡했지요. 한편, 1월 3일에는 중국국가항천국이 달 무인 탐사선 ‘창어 4호’가 무사히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고 발표했어요. 달의 뒷면에 착륙하는 일은 인류 최초예요. 창어 4호는 이날 오전 10시 26분(현지 시각), 달의 뒷면 ‘본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백인, 20~40대, 교육받은 중산층인 만큼 의도치 않은 편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구 이사는 스트리클런드 교수 사례도 출처의 편향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는 스트리클런드 교수의 인물 정보로 올라왔던 초안을 꼼꼼히 살펴봤다(위키백과는 모든 수정내용을 ‘역사보기’ 탭에서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학술지 ‘네이처’가 선정한 올해 과학계 10대 인물에 선정될 만큼 화제를 모았지만, 한편으로는 심각한 연구 윤리 위반이라며 학계의 비난에 휩싸였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의 창시자 중 한 명인 장펑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물공학 교수는 허 교수를 공개적으로 비난했고, ‘MIT ...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마이클 아티야 별세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결국 리만 가설 관련 일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습니다. 한편 2018년 12월 22일에는 필즈상 수상자인 벨기에 수학자 장 부르갱이 췌장암으로 투병하던 끝에 66세의 나이로 숨을 거뒀습니다. 부르갱은 편미분방정식과 컴퓨터과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