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터
토지
토질
영토
땅
밑자리
기초
d라이브러리
"
터
"(으)로 총 1,625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
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반면 새로운 분야로 뛰어든 구 박사는 0.01nm 크기까지 관찰할 수 있는 고해상도 주사
터
널링현미경(STM)을 손수 만들며 부단히 노력했다. 구 박사에게는 STM에 얽힌 ‘새옹지마’와 같은 이야기가 하나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몸 담은지 3년째 되던 해에 구 박사가 처음 맡게 된 일은 수입품보다 ...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닥
터
고글, 우편물이요~!”노곤~한 봄날, 닥
터
고글을 깨우는 우렁찬 소리. 하지만 우리의 닥
터
고글은 춘곤증에 KO패! 냥냥이가 대신 받 ... 우정을 되찾게 되어서 너~무 기쁘단다. 사건도 해결됐겠다, 앞으로 영원한 우정을 위해 닥
터
고글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기로 했다.“하나, 둘, 셋~ 찰칵 ... ...
출발, 북극으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지구온난화에 대해 토론할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정 군과 오티에노 군은 28일부
터
8월 5일까지 북극 다산과학기지에서 열리는 ‘1.5도 다운 그린캠프’에 참여할 세계 청소년 기후대사로 뽑혔다.지구 ‘열병’ 고칠 ‘특효약’ 구해올
터
2007년 7월 7일 청소년기후대사의 북극 출발을 알리는 1.5도 ... ...
'캐리비안의 해적' 건강보고서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분신에게 명령을 내리고 맘에 안 드는 ‘놈’은 단칼에 죽여 버린다.서울대병원 강남센
터
정신과 윤대현 교수는 “사람들과 동떨어져 아무 자극 없는 환경에서 지내다보면 일시적으로 환상을 보거나 환청에 시달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잭 선장은 지옥을 탈출한 뒤 다시 정상으로 ... ...
우주기네스북 한판 대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배)를 넘어야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라고 할 수 있다.이때 통큰그룹이 비장의 무기로 카운
터
펀치를 날린다. “우주에서 가장 큰 폭발을 일으킨 별은 무엇인지 아시오?” 순간 정적이 흐르고 통큰그룹 대표의 발표가 이어진다.지난 5월 7일 NASA는 지구에서 2억4000만광년 떨어진 은하 NGC1260에 있는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멀리 떨어지는 시점으로 이즈음 금성이 초저녁 서쪽하늘에 가장 높이 떠오른다.이때부
터
금성은 점점 지구에 가까워져 7월에 올해 최고 밝기를 기록한다. 가장 밝게 보이는 때는 7월 12일로 이즈음 금성의 밝기는 무려 -4.4등급에 이른다.올해 천체망원경으로 달처럼 차고 기우는 금성의 위상 변화를 ... ...
가슴 속에 부는 토네이도를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명에 이른다. 이 교수 연구의 의미가 커 보이는 대목이다.복잡계 이론으로 뇌까지 정복할
터
이경진 교수가 토네이도 연구에 뛰어든 계기는 1995년 미국 프린스턴대 박사후연구원 시절 진행했던 ‘아메바 군집 연구’다. 일정한 규모의 아메바 군집은 상호 작용하며 슬러그(slug)라는 다세포 생물체를 ... ...
알약으로 치매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시각이다.이 같은 현상에 대해 서유헌 교수는 “우선 기초과학이 정말 비전이 없는지부
터
살펴야 한다”며 “인생 전체를 단기적인 경제논리의 틀에서만 바라보는 태도를 되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서 교수는 ‘의대 속의 기초 과학자’다. 서 교수가 의대에 재학하던 당시에도 임상의를 ...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한반도에서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연구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리히
터
규모 : 지진의 크기를 뜻하며 1~9까지 있다. 숫자가 클수록 지진이 세다 ... ...
세상을 창조하는 디자이너 4. 디자이너이너가 말하는 디자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3호
일을 하더라도 어떻게 해야 될지 논리적으로 생각하는 습관을 더 강조하셨답니다. 원래부
터
디자인에 관심이 많았지만 부모님의 영향도 컸지요.보통 디자인을 잘 하려면 그림을 잘 그리거나 색감이 좋아야 한다지만 제 생각은 다르답니다. 논리적으로 생각을 정리하고 표현할 수 없으면 훌륭한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