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소리"(으)로 총 2,4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진공에서 빛은 관측자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갖는다. 잘 알려져있듯 초속 30만km다. 하지만 진공이 아닌 다른 매질, 광자의 전진을 방해하는 어떤 물질 속으로 들어가면 빛의 속도도 느려진다. 예컨대 물속에서는 1.5배 느려지고, 반도체에서는 3배 정도 속도가 느려진다. 반도체는 일상에서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안녕? 난 인류 최초의 요리사라 불리는 호모 에렉투스야. 하늘에서 이 하얀 것이 떨어져 머리에 써 봤는데 갑자기 이곳으로 오게 됐어. 근데 저 사람은 뭐 하는 거지? 게다가 킁킁~, 이 맛있는 냄새! 저 사람이 만든 건가? 어디, 맛 좀 보자. 쩝쩝! 헉, 어떻게 이런 맛이 나지? 나도 요리라면 자신 있는데 ...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프랑스에 파브르 곤충기가 있다면, 한국에는 정부희 곤충기가 있다.’ 정부희 고려대 한국곤충연구소 박사가 버릇처럼 하는 이야기다. 그녀는 2010년 ‘곤충의 밥상’을 시작으로 매년 곤충기를 펴내고 있다. 현재 5권까지 나왔다. 파브르가 곤충기를 집필한 것보다 두 배는 빠른 속도다. 심지어 수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➊ 수조를 막 나온 수원청개구리. 수원청개구리는 보통 청개구리보다 체구가 작고 벼에 매달리기 좋아하며 논둑의 잡초 속에서 쉬는 게 특징이다.➋ ➌ 서울대와 이화여대의 수원청개구리 연구팀이 논에 수원청개구리를 풀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➍ 연구를 이끈 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하늘은 맑고 시원한 바람이 분다. 소풍 가기 딱 좋은 날씨다. 그런데 숙제와 시험 때문에 놀러 나갈 수 없다고? 그럴때는 놀면서 공부하는 곳으로 가면 된다. 두 독자기자를 따라 수학을 감각적으로 배울 수 있는 놀이터로 가보자. 김주경, 이재교 독자기자가 찾은 곳은 경기도 군포시에 자리 잡은 ... ...
- PART1. 나는 살아있는 것을 연구한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2 가난한 농부의 맏아들. 한평생 나를 옭아맨 운명이었다. 내가 태어나기 직전 나폴레옹이 유배지에서 죽었다고 한다. 왕당파 귀족들과 성직자들은 혁명기에 빼앗겼던 특권을 되찾았다. 그런 시절이었다. 농촌이든 도시든 평민은 모두 찢어지게 가난하고 비참했다. 난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다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8월 26일에 찾은 서울 신촌의 이화웰니스센터 음악치료연구실에는 치료를 위한 작은 방이 3개 있었다. 가장 안쪽 방으로 들어가자 리듬을 만들고 편집할 수 있는 노트북과 랩에 멜로디를 더해줄 건반이 있었다. “가사는 써 오셨어요?” 김영실 음악치료사(연구원)가 물었다. 사전에 미리 랩 가사를 ... ...
- PART2. 파브르가 사랑한 곤충, 그리고 우리 곤충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신비롭고 놀라운 프랑스의 곤충을 뛰어난 관찰력으로 오랫동안 지켜 본 장 앙리 파브르는 곤충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파브르 곤충기는 생동감 있는 곤충의 다채로운 삶을 사실적으로 전달해주는 최고의 곤충서다. 곤충의 생태를 꼼꼼하게 관찰해 정확하게 묘사했을 뿐 아니라 시적인 문장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9월 5일 오후 6시, 제주행 비행기. 착륙을 5분쯤 앞뒀을까. 해안을 따라 늘어선 수십 개의 하얀 막대들이 보였다. 연구를 위해, 혹은 실제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날개를 돌리고 있는 풍력발전기들이었다. 과연 ‘바람의 섬’ 제주다웠다. 이런 느낌은 비행기에서 내려서도 이어졌다. ‘풍차마을’이 ... ...
- [Knowledge] 생일 축하해, 티라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북아메리카 대륙의 서부지역에는 백악기 후기 때 형성된 지층인 헬크릭층이 넓게 분포한다. 이 지층은 범람원 또는 삼각지에서 형성된 점토암과 이암, 그리고 사암으로 이뤄져 있는데, 6600만 년 전에 만들어진 만큼 공룡시대 막바지에 살던 동물의 흔적이 많이 묻혀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갑옷공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