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평창 하늘 수놓은 1218대 드론 군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번에 그 수를 2배 이상 늘렸다. 드론 쇼를 총괄한 나탈리 청 인텔 드론 라이트쇼 책임자는 “드론이 차례로 이륙한 뒤, 서로 부딪치지 않게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날 1218대의 드론은 150cm의 간격을 유지하며 일사분란하게 움직였다. 드론의 이름은 ‘슈팅스타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것처럼 말이다. 여기에도 인공지능이 도전장을 던졌다. 김대승 지능정보기술연구원(AIRI) 책임연구원은 K팝 안무를 만드는 인공지능 ‘곡가무일체’를 지난해 선보였다. 기존에 개발된 안무 창작 인공지능은 재즈, 왈츠 등 특정 음악 장르의 춤사위를 학습시킨 뒤, 무작위로 음악을 들려줄 때 장르에 ... ...
- [종목5] 컬링, ‘ 빙판 위의 체스’ 돕는 얼음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연구해 컬링을 비롯해 다양한 동계 스포츠 종목의 경기력 향상을 도울 계획이다. 이 책임연구위원은 “루지 썰매에 장착하는 스케이트 날 각도를 조절해서 직선구간을 달릴 때 마찰계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도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식하고 실천해 나가야 할 과제다. 지구촌 구성원 모두는 사회적, 환경적 공익을 추구할 책임을 갖고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그것이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소한의 윤리적 자세다. 과학동아 2017년 03월호 ‘떠내려가는 회의론 기후변화는 왜 사실인가’ 중 발췌 미국이 파리협정을 안 ... ...
- [Issue] 중국은 어떻게 ‘슈퍼 차이나’가 됐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현재 중국 과학자들은 변혁의 중심에서 대규모 투자와 중국 인민의 기대에 따른 무거운 책임감과 중압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부담감이 결과적으로는 중국 과학계에 자부심과 동기를 심어주는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 ...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경주마별 전체 기록과 구간 기록, 속도 등 다양한 정보를 관중에게 서비스한다. 이 책임연구원은 “정밀측위시스템을 발전시켜 조정 종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한체육회와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金빛 질주, 국가대표 사이언스[종목1]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산호가 본연의 색을 잃었다. 박흥식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생태기반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처음에는 육지에서 가까운 바다에 백화 현상이 발생하다가 점차 대양으로 확산되는 추세”라고 말했다. 백화 현상 빈도, 40년 전보다 5배 높아고통을 호소하는 건 그레이트배리어리프만이 아니다. ... ...
- [과학뉴스] 괌 앞 바다산에 출연연 이름 붙는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오른쪽 사진의 빨간 네모)’으로 정했다고 1월 16일 밝혔다. 이 해산은 박요섭 책임기술원 등 연구진이 지난 해 2월 이사부호에 탑승해 탐사하던 중 발견됐다. 수심 6000m 심해에 있으며 가로 약 35km, 세로 약 33km, 높이 약 4000m에 이르는 거대한 원추형 지형이다(위 왼쪽 사진). 연구진은 향후 키오스트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모 선수는 작년 하반기 체력 훈련을 통해 무너진 균형을 회복하는 데 집중했다. 송 책임연구위원은 “체력적인 부분은 전성기 시절의 상태를 거의 회복했다”며 “키네틱 체인의 균형도 좋아졌고, 스타트뿐만 아니라 후반 속도도 향상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어도 적시에 이식하지 못해 버려지는 장기만 60%에 이른다. 휴먼하이테크 최고기술책임자(CTO)인 김시윤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연구교수는 “3년 내 이식용 냉동 장기의 성공 사례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식용 장기는 냉동인간을 실현하기 위한 긴 여정 중의 하나”라고 말했다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