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표
율
근지수
seng
d라이브러리
"
지수
"(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말했지만 수소이온 농도가 ‘1천만분의 1’ 이라는 말은 너무 사용하기 불편하다. 이것을
지수
로 ${10}^{-7}$이라고 바꿔 사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불편하다. 그래서 정의는 다소 복잡하지만 사용할 때 간편한 pH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pH는 다음과 같이 정의해 사용한다.pH = - log [ H+ ]보통 중성인 물의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고 말하면서 "더 이상 음악가나 운동선수가 지능이 낮다고 말할 수 없다"고 했다. 감성
지수
(EQ)도 등장최근 감성지능(EQ, emotional intelligence)이라는 책이 미국에서 출판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의 과학기자인 골먼이 쓴 이책에서는 인간의 성공 가능성은 IQ로 표시되는 지적능력보다 성격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방안에 갇혀 자라난 미국의 한 소녀는 말을 할 수도, 두다리로 걸을 수도 없었으며 지능
지수
를 측정할 수도 없었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도, 놀이기구가 많은 환경에서 자라난 쥐가 미로학습의 성적이 높다는 결과가 나와있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인종들, 혹은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또한 아주 어릴 때부터 격리돼 각기 다른 환경 속에서 키워진 일란성 쌍둥이들의 지능
지수
상관계수가 일반인들보다 특히 높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 범죄자 정신이상자 백치 알코올중독자 등이 유난히 많은 가계와, 과학자 법학자 은행가들이 특별히 많은 가계가 여러사회에 존재함을 예로 들어 ... ...
당신이 사는 곳은 몇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 식물이 살 수 없는 열악한 공간들이 산재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 주거지역의 생태
지수
가 높게 나올 수 없을 것이다.서울에 야생동물이 별로 살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도시에서 수계 서식처가 파괴되자 곤충이 감소되고, 특히 수서곤충이 소멸됐다. 그 결과 연쇄적으로 그것을 먹이로 ... ...
2 온도·습도-쾌·불쾌의 가늠자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측정에 기초한 지표(온도계에 의한 측정), 주관적인 경험에 기초한 지표(실효온도 및 불쾌
지수
), 인간의 열평형에 근거한 지표(신실효온도 및 PMV지표)등이 있는데 이중 쾌적성에 관한 지표로는 인간의 열평형에 근거한 지표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신실효온도(new effective temperature)란 미국 ... ...
비만 8가지 궁금증 풀이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체질량
지수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비만의 지표로 이용함)는 양부모의
지수
와는 전혀 연관성이 없었다. 친부모와의 연관성 조사에서는 아들보다 딸이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그러나 유전 때문에 비만이 될 수밖에 없는 '운명'은 없다. 가족성말고도 여러가지 요인들이 작용하기 ... ...
6 냄새-화학적 자극을 수용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베버-페크너의 법칙이란 우리가 느끼는 감각의 세기(S)와 외부적인 자극강도(X) 사이에
지수
관계가 있다(S=alogX)는 법칙으로, 예를 들어 악취 물질을 99% 제거하더라도 1%의 악취물질은 30%의 악취강도를 느끼게 한다고 설명한다.이것은 우리의 감각기관이 지니고 있는 고유의 특성이므로 냄새에 대한 ... ...
3. 세계 최소 분자 인물화 제작 성공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현재의 반도체산업은 실리콘에 기반을 둔 고집적 IC가 주도하고 있다. IC의 집적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성장해온 결과 이제는 더이상 크기 축소가 불가능한 단계에 이르렀다. 현재의 광학 묘화기술(lithography)로 얻을 수 있는 집적회로의 폭은 0.3-0.5㎛. 앞으로 개발될 모든 기술적 가능성을 감안한다 ... ...
표본추출방법따라 결과 180도 달라지는 통계의 속임수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이들 여론조사가 얼마나 과학적인 사전조사와 방법을 가지고 수행되는지에 대해서는 미
지수
다. 그 결과가 어떻게 정확하게 일반인들에게 전달되는가에 대해서도 큰 신뢰를 갖기 어렵다. 대개 오차범위는 눈에 띄지 않는다는 이유로 빠지기 십상이다.정확한 통계이기 위해서는 통계숫자와 더불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