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와 함께 렛츠 수학 파티!수학동아 l2022년 03호
- 두 가지 준비했습니다!리듬에 몸을 맡기는 흥겨운 파이송과 하다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재밌는 마인크래프트를 통해 수학을 함께 즐겨 보자고요! [수학 x 노래] 파이송 챌린지 (☞바로가기)싱어송라이터 이상길 씨가 만든 반주에 맞춰 원주율을 외운 영상을 찍거나, 새로운 수학 가사를 지어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3장. 수학 밑바닥 이야기수학동아 l2022년 03호
- 않아도 두 집합의 크기 비교가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예컨대 여러분이 숫자를 3까지 셀 줄 모른다고 해 봅시다. 두 집합 A, B에는 원소가 각각 3개씩 있어요. 개수를 셀 수 없기 때문에 두 집합의 원소를 하나씩 짝짓습니다. 그러면 원소를 남김없이 서로 짝지을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두 집합의 크기가 ... ...
- [에디터 노트] 창백한 푸른 눈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있지만, 향의 정체나 향을 느끼는 원리는 잘 모릅니다. 이번 특집이 그런 궁금증을 풀어줄 것으로 예상합니다.이번 호를 마무리하며, 저만의 창백한 푸른 점을 생각해 봅니다. 오랜 시간 갈 길을 가다 문득 방향을 틀었을 때, 그곳에 추억의 대상이 보인다면 얼마나 안심되고 행복할까요. 점 하나로 ... ...
- [과학뉴스] 침팬지는 상처에 ‘벌레 약’ 바른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가장 가까운 친척인 침팬지와 보노보는 인간처럼 자가치료법을 사용할 줄 안다. 구충 효능이 있는 식물의 이파리를 삼키고, 화학 성분을 가진 쓴 잎을 씹어 장내 기생충을 죽인다. 여기에 더해 침팬지가 외부 상처에 사용하는 자가치료법으로 벌레를 바른다는 연구 결과가 처음 나왔다. 시모네 피카 ... ...
- [통합과학 교과서] 시시포스의 마찰력 줄이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기름이나 얼음 등의 미끄러운 표면 위에서 물체를 미는 방법이 있어요. 물체의 무게를 줄여도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죠. 또한, 물체가 둥글다면 미는 것보다 굴리는 편이 더욱 수월합니다.마찰력은 운동의 진행을 방해하는 힘이지만 꼭 필요한 힘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미끌어지지 않고 걸어갈 수 ...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과학동아 l2022년 03호
- 미술 사이에 다리를 놓다 “네가 언젠가 한 번쯤은 의미 있는 엉뚱한 짓을 할 줄 알았다.”대학 시절, 물리학과에 재학하면서도 화구통을 어깨에 메고 미대를 기웃거리던 서 교수가 책을 내자 지인이 한 말이다. 서 교수는 주중에 연구하고 주말에 그림을 그리면서 책까지 펴낼 수 있었던 원동력으로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0칼로리 치킨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호메이 일본 메이지대 첨단미디어과학과 교수팀이 발표한 제품이 우리의 고민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면을 핥아 음식의 맛을 볼 수 있는 TTTV(Taste the TV)란 이름의 제품인데요, 초콜릿, 피자 등 다양한 음식의 맛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제품을 테스트하는 영상이 소셜미디어(SNS)에서 인기를 ... ...
- 역사│인간의 숨결에서 향이 탄생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잊지 못할 추억을 불러일으키고, 누군가에겐 매력을 더해 자신감을 불어넣어 줄 것이다. 인간에게 있어서 향은 그런 존재다. 한때 향수는 사회적으로 지위가 높거나 특별한 사람들만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그러나 요즘에는 남녀노소 상관없이 본인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일상에 깊이 들어왔다. ... ...
- [기획] 다지류 선조는 육지를 휩쓰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진출한 동물입니다. 고생대 초기의 육지는 수분이 부족하고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막아줄 오존층도 부족했어요. 하지만 다지류는 딱딱한 껍데기를 가지고 있어 육지의 가혹한 환경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어요. 이끼와 함께 물가에 첫 육상 생태계를 만든 다지류는 이후 급격하게 진화합니다.작년 1 ... ...
- [JOB터뷰] 양자전쟁을 무대에 올리다! ‘외계공작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연극을 준비하게 됐다”며 입을 열었어요.“어릴 땐 과학 이론이 전부 뚝딱 만들어지는 줄 알았어요. 과학자 이름과 이론은 흔히 들어 봤지만, 그 과학자가 연구하면서 느끼는 감정까진 생각하지 않잖아요. 연극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던 건 과학 이론이 아니라, 이론의 탄생 과정과 과학자의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