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기회는 많지 않았다. 함께 강연을 하며 질의응답을 받을 때 만나는 수준으로 만남의 시간 자체가 짧기도 했지만, 더 솔직하게는 의학박사 출신으로 우주의학을 강의하는 그와 공학도인 나는 거리감이 있을 거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MIT 졸업하고 의대 다시 간 이유 그런데 2017년 좋은 기회가 ... ...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않다고 생각해요. 예술작품도 실용적인 측면에서 쓸모가 있는 건 아니잖아요. 아름다움 자체가 쓸모가 아닐까요. 저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처럼 아름다움이 있는 수학을 연구하고 싶어요.송승호 저는 우선 대학에서 수학을 비롯해 여러 가지 경험을 해 보고 싶어요. 저에게 잘 맞는 일이 무엇인지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현장 시험 결과 GM 모기 방사로 인해 그 양이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GM 모기 자체도 기존 생태계에 없던 물질이다. 옥시텍은 GM 모기가 알만 낳고 죽도록 설계했지만, 실제로는 최대 15%까지 계속 생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더불어 GM 모기에 삽입된 유전자가 다른 종에게 옮겨질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일으키는 단백질에 달라붙어서 기능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자체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신개념 질병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교수팀은 고속 대량 스크리닝법을 이용해 유비퀴틴 꼬리표가 붙은 정크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돕는 유력한 후보 물질 ... ...
- [큐레이터] 빛으로 공간을 만드는 예술가수학동아 l2019년 08호
- 효과는 장시간 외부의 자극이 차단된 상태에서 감각을 잃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뇌에서 자체적으로 환상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뜻합니다. 이에 완전히 매료된 터렐은 빛을 이용해 간츠펠트 효과를 느낄 수 있 는 작품을 만듭니다. 나아가 터렐은 표면에 반사돼 우리가 볼 수 있는 빛 그 이상을 보고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찬가지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떠돌아다니는 사진을 비롯한 동영상은 그 자체로는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지만, 이 데이터들을 가공해서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학습시키면 데이터로 입력된 사물을 알아볼 수 있게 될 겁니다. 그리고 이런 일이 가능해진다면 인공지능은 우리가 지금까지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인식해 심성어휘집에서 선택 과정을 거쳐 인지한다”면서 “이와 동시에 철자를 음성 자체로 받아들여 인지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박휘벌레’라고 써도 ‘바퀴벌레’라고 해석할 수 있는 것은 이런 소리기반인식경로 덕분이다. 철자 상으로는 ‘박’과 ‘휘’가 합쳐졌지만 한국인이라면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로켓 개발의 서막, 과학로켓 ‘KSR’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우리 연구팀에게는 참으로 기운 빠지는 소리였다. 그리고 2010년 예정이었던 한국의 자체 로켓 발사 계획은 별다른 기술적 검토도 없이 2005년으로 크게 앞당겨졌다. 최초의 과학로켓 KSR-I, ‘원샷원킬’ 하늘을 날다 북한의 대포동 1호 발사에 전 세계가 민감하게 반응한 건 로켓이 군사적 용도로, ... ...
- [영국유학일기] 이력서 검토에 진로 상담까지 최고의 진로지원센터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통합 4년제 과정 중에서도 딱 하나뿐이다. 그래서 교환학생을 가고 싶다면 교육 과정 자체를 바꿔야 하고, 혹시라도 1년을 보낼 다른 대학 실험실을 찾지 못할 경우에는 교육 과정이 일반 4년제로 자동 변경된다.한 학과에도 다양한 교육과정이 있는 만큼 교환학생이 아니어도 경험을 쌓기 좋은 교육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있다. 이들은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절단하는 뉴클레이스를 이용해 모기의 유전자 자체를 망가뜨렸다. 연구팀은 두 종류의 뉴클레이스를 이용했다. 하나(I-PpoI)는 흡혈을 하는 암컷이 아예 태어나지 못하게 만든다. 암컷의 성염색체는 XX다. 이를 위해서는 성염색체를 X와 Y 둘 다 갖고 있는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