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고수의 조언 4 기술로 따스함까지 전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열이 나는 장치인 ‘열전소자’를 이용했어요. 전류의 방향과 크기에 따라 열이 나는
위치
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지요. 덕분에 물건을 만지기 전, 후의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어요. 또, 연구팀은 이 열전소자를 유연한 구조로 만들어 늘어나도 끊어지지 않고 피부에 잘 붙도록 했답니다. 연구를 ... ...
[특집] 가볍게 들고다니며 시간을 알아보자. 혼개통헌의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천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는 시계입니다. 하지만 야외에서 사용해야 하고 관측차의
위치
에 제약이 있으며 날씨의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죠. 현대에는 이런 단점을 개선해 ‘플라네타리움’이라는 장비를 사용합니다. 플라네타리움은 천문학과 밤하늘에 대한 교육, 밤하늘을 보며 배를 ... ...
[기획] 스포츠 클라이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라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될까요? 답은 ‘아니오’입니다. 인체의 무게중심은 각 부위에 분포된 질량의 평균
위치
이며 질량중심이라고도 불립니다. 몸의 질량이 부위별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삼각형의 무게중심과는 다르게 구해야 합니다. 인체의 무게중심을 구하기 위해서는 분절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겁니다. 하지만 그는 이어 “우리나라의 수학교육이 빠른 진행에만 치중해 자신의
위치
를 깨닫고 다시 시작할 시스템이 준비돼 있지 않다”며 “이 상황에서는 수학을 포기하거나 꺼리는 사람이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교수가 준비하는 ‘미래의 수학교육’ 실제로 국제 ... ...
[한페이지 뉴스] 지구에서 단 36광년 가장 가까운 외계행성 관측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확인할 수 있다. 하나는 외계행성이 궤도를 따라 이동하던 중 외계항성과 지구 사이에
위치
한 순간 외계항성이 발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외계행성이 공전하면서 주변 중력에 영향을 줘 외계항성이 미세하게 흔들리게 하므로, 외계항성의 빛 파장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그려진 모니터가 보였다. 수많은 궤도가 실타래처럼 엉켜있었다. 지구 주변 소행성의
위치
를 한눈에 알려주고 있었다. 센터에 따르면 이날 근지구소행성(NEA·지구의 공전궤도 근처에 있는 소행성)은 총 2만 6021개로 전날보다 14개 증가했다. 김명진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은 “자연우주물체는 ... ...
[NST, 모두를 위한 연구]세계 네 번째로 구축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 모델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구축한 모델이었다. 치명적 감염병 대비 위한 영장류 모델8월 4일 오후, 충북 청주에
위치
한 생명연 국가영장류센터를 찾았다. 센터 내 미래형동물자원동 2층에는 생물학적 안전성 3등급(BSL-3) 실험실이 있다. 홍정주 국가영장류센터 면역&감염실험실 책임연구원은 “최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해롱 선장과 페가수스 선장이 라이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손수 쓴 편지를 전해주는 일이었습니다. 딱지와 프로보는 남자가 탄 우주선을 조회해
위치
를 알아냈습니다. 그리고 그쪽으로 향했지요. “우주순찰대입니다. 여자친구분이 꼭 돌아와 달라고 애원하고 있어요.”“싫어요! 난 이대로 우주 끝까지 가버릴 거예요. 이제 삶의 의미가 없어요! 엉엉엉 ... ...
[특집] 고수의 조언 2. 나만의 선물을 준비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9호
로키산맥을 넘어 캐나다 전역에서 들리고 있었어요. 연구팀이 흰목휘파람새에게
위치
추적 장치를 붙이고 관찰한 결과, 북미의 서부지역에 거주하는 새들의 월동지와 동부 지역 새들의 겨울 서식지가 겹쳤어요. 연구팀은 각 지역에서 번식하는 새들이 함께 겨울을 보내며 노래를 배운 것으로 ...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여러 번 소실됐지만 조선 왕조는 이를 계속해서 만들었어요. 어찌보면 당시 국보의
위치
에 있던 물시계라고 볼 수 있겠죠. 용어정리* 표준시 : 한 국가 또는 넓은 지역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기준 시간. 현재 우리나라는 협정 세계시(UTC)보다 9시간 빠른 UTC+9를 표준시로 사용한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