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측"(으)로 총 3,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가장자리가 얼마나 빨리 녹고 있는지는 알아차리기 어렵다. 김현철 극지연구소 북극해빙예측사업단장은 “숲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는 숲의 바깥으로 나와야 하는 것처럼 멀리 떨어져야만 제대로 보이는 것이 있다”며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극지에서 길이가 최대 수백km에 달하는 얼음의 면적이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남극 대륙 전체의 빙하 변화를 정량화해 해수면 상승을 예측할 수 있는 그날까지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남극장보고과학기지에서 남서쪽으로 50km 떨어진 난센 빙붕에서 ‘빙산 C33’이 떨어져 나오는 모습이 아리랑 5호에 포착됐다. ... ...
- [한페이지 뉴스] 미래 식량문제, 바다가 답일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양식 어업량이 꾸준히 늘면서 2050년에는 전체 수산물 생산량의 44%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코스텔로 교수는 “전 세계적으로 식량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육상에서 식량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심각한 기후변화를 불러올 수 있다”며 “바다에서 식량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식량 문제를 ... ...
- [융복합 파트너 @ DGIST] 줄기세포로 만든 ‘미니 장기’로, 암 표적 치료법 찾는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사실을 처음으로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 편평상피세포암의 방사선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 유전자를 찾아 국제학술지 ‘캔서 디스커버리’에 발표했다. doi: 10.1158/2159-8290.CD-16-0127이 과정에서 노화를 늦추는 항산화 유전자가 오히려 암의 성장과 전이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도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미래를 탐구하는 활동은 지금의 우리에게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그런 면에서는 예측의 정확도에 대한 부담이 덜한 SF가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휘하는 데 적합하죠. 미래를 얘기하는 SF는 현실의 우리를 변화시키고, 우리는 다시 앞으로 다가올 미래를 만듭니다. 특이점에 대한 논의는 기술 발전에 ... ...
- [3회] 고수의 데이터 요리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데이터를 요리하는 기본적인 레시피를 알려드렸으니 이제 요리하는 걸 한번 보여드릴게유. 오늘 요리할 데이터는 청소년이 좋아하는 온라인 게임의 데이터예 ... 실험했습니다. 그 결과 알고리듬이 최고 86%의 정확도로 어떤 사용자가 이탈할지, 게임을 계속 즐길지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역대 전적과 상대전적, 선수의 데이터, 리그 일정 등등 온갖 종류의 정보들을 입력해서 예측하죠. 물론 이렇게 해도 항상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와서 ‘축구공은 둥글다’라는 격언을 다시 떠올리게 할 때도 있습니다. 2018년 우리나라가 세계 최강 독일을 2-0으로 이겼던 것처럼요. 여러분만의 취미와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관심사가 됐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북극해 해빙 지도와 해빙 변화 예측 자료는 북극 항로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북극의 환경을 지키면서도 인류의 번영에 기여할 수 있는 유익한 연구인 셈이다 ... ...
- [한 장의 과학] 세상에서 가장 세밀한 원자 3D 증명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구조가 다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박정원 연구위원은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고, 합성하는 것이 미래 소재 개발에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촬영 기술이 앞으로 촉매나 디스플레이, 신약 개발 등 신소재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용어정리그래핀 : 탄소 ...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50년 안에 북미와 동아시아 등으로 와서 지카와 황열병 같은 위험한 질병을 옮길 거라고 예측했어요. 지구 평균 기온이 올라가면 두 모기가 지나치게 더워지는 열대지방을 피해 북쪽으로 이동하고, 북미와 동아시아는 모기가 옮기는 질병이 잘 퍼지는 온도에 가까워지기 때문이지요. 그러면 모기가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