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려면 수도꼭지를 돌려야 하는데 처음에 물이 나오게 돌리는 힘이 임계전압이다. 인텔
연구진
의 실험 결과 3D 트랜지스터의 임계전압은 평면형 트랜지스터에 비해 약 30% 이상 줄어들었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 공학부 교수는 “3D 반도체는 누설전류가 줄어들고 스위칭 속도도 획기적으로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헨리 마크람 교수팀이 슈퍼컴퓨터로 가상현실 속에 ‘인공두뇌’를 만들고 있어.
연구진
은 인공두뇌에 정보를 넣고 학습시키면 사람같이 지능과 감정을 가질 거래.게다가 사람보다 더 뛰어난 인공지능도 있어. 지난해 2월 퀴즈대결에서 IBM에서 만든 슈퍼컴퓨터 ‘왓슨’이 퀴즈 달인 2명을 이기고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였다. ‘행성’이라는 단어보다 ‘다이아몬드’라는 말에 집착하는 사람들에게
연구진
은 사람들의 상상력에 찬물을 끼얹는 설명을 덧붙였다.“절반 이상이 다이아몬드로 구성된 행성은 열 전도도가 매우 높은 다이아몬드의 특성상 행성 표면이 열을 가두지 못한다. 만일 이런 행성이 존재한다 ... ...
한번 겪은 가뭄 두 번째는 낫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그렇지 않은 식물보다 가뭄에 더 잘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네브래스카 주립대
연구진
은 애기장대를 두 집단으로 나눠 한 집단은 꾸준히 물을 주고 다른 한 집단은 2~3일간 물을 주지 않기를 여러 번 반복했다. 그리고 두 집단 모두 5일간 물을 주지 않았다. 실험 결과, 가뭄을 경험했던 식물은 ... ...
100배 더 정확한 핵 시계 등장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지금의 원자시계 정확도가 한계에 다다랐으며 훨씬 더 정밀한 시계가 필요해지고 있다.
연구진
을 이끈 플람바움 호주 NSWU 교수는 “이번 원자 핵 시계 개발로 정확도에 있어서 한계를 보이고 있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배신자 효소 파괴하는 저격수 효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혈액암 등 많은 암세포에 달라붙어 암의 진행과 전이를 돕는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연구진
이 배신자 효소를 없애는 ‘저격수 효소’를 찾아냈다. 이 효소를 이용하면 새로운 암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건국대 미생물공학과 안성관 교수와 배승희 박사 연구팀은 세포 내에 있는 효소 ... ...
상아탑서 잠자는 기술, 돈버는 기술로 깨운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크게 만들면 생산성이 좋아지지만 LED 성능이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 약 4년 전 GIST
연구진
은 LED 수요가 늘어날 것을 예측하며 사파이어 소재의 웨이퍼 기판을 크게 하는 동시에 LED 성능을 해치지 않는 플라스마 발생 기술을 개발했다.그러나 기술을 LED 제조 공정에 바로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제조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NMR·核磁氣共鳴)’이 개발된 1946년부터 시작한다. 미국 하버드대와 스탠퍼드대
연구진
이 공동 개발한 NMR은 분자의 구조나 특징을 파악할 때 사용한다. 자기장을 띠고 있는 곳에 놓인 물질의 원자핵이 고주파와 만나면 공명현상에 의해 특정 고주파를 흡수하며 에너지 상태가 높은 곳으로 올라간다. ... ...
테라헤르츠 빛 제어하는 편광기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어려운 통신·센서·의료영상·화학물질 확인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연구진
은 탄소나노튜브로 한 겹의 벽을 만들어 시험해 본 결과 약 30%의 편광능력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탄소나노튜브로 3겹의 벽을 쌓으면 테라헤르츠 영역의 빛을 99%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행성으로 날아와 깨지면서 고리가 됐다는 것이다. 2009년 북아일랜드 아마천문관측대
연구진
은 독일 포츠담에서 열린 유럽행성과학회 학회에서 지나가던 혜성이 목성의 중력에 잡혀 한때 위성 노릇을 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혜성의 이름은 ‘147P/쿠시다-무라마츠’로 1949년에서 1961년까지 1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