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학"(으)로 총 8,4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증명에 도전하는 이유는?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 때문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수학자들 사이에서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도형을 그리며 증명해보면서 수학적 사고력을 키울 수 있다”고 교육 효과를 설명했어요. 400개가 넘는 증명이 나올 수 있었던 이유로 허 교수는 “피타고라스 정리는 도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리”라며, “피타고라스 정리로 닮음비를 ... ...
- [러셀 탐구생활] 천재는 하나의 신화일 뿐이다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놓을 수 없었습니다. 정계로 진출할 기회가 있었지만,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수학 기초론’ 강연을 맡지 않겠냐는 제안을 대신 수락했습니다. 그리하여 그해 가을, 러셀은 다시 케임브리지대로 돌아갑니다. 앞으로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학생을 여럿 만나겠지요. 그중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과학중점학교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것과 같은 실험 수업도 과학중점학교와 일반고 차이가 있나요? A. 과학중점학교는 과학, 수학 교과의 수업을 전체적으로 심화시키는 구조여서 화학실험 과목을 따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지금은 전주기전여고가 과학중점학교가 아닙니다만, 과학중점학교 시기엔 화학실험 과목을 진행해서 실험의 ... ...
- [논문탐독] 시뮬레이션의 새로운 지평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시뮬레이션을 하려는 원본 대상의 특징을 잘 알아야합니다. 과학자들은 여러 현상을 수학 공식의 형태로 변환하고, 원본 대상의 특징을 실제에 가깝게 재현할 수 있는 실험 장비들을 갖춰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곤 합니다. 컴퓨터의 발달 덕분에 우리는 많은 실험을 컴퓨터 안에서 시뮬레이션할 수 ... ...
- [연구실은 미니멀리즘 그 자체] 공책, 다면체 모형, 그리고 모래시계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다면체와 관계가 있어 좋아하게 됐대요. 작년 가을 아들의 학교 반 친구 7명 앞에서 수학자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짧은 강연을 했을 때도 다면체를 소개했지요. 초등학교 저학년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다면체 모형을 가지고 다면체의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오일러의 다면체 ... ...
- [허준이 교수가 프린스턴에서] 가장 자주 가는 장소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허 교수는 연구하러 학교 도서관 외에도 프린스턴 공공 도서관에 종종 간대요. 연구실에서 걸어가면 15분 정도 걸리는데, 그 중에서도 어린이 도서 코너가 있는 3층을 즐겨 찾지요. 그는 “성인 도서 코너는 다들 너무 조용해서 부담스럽다”며, “반면 어린이 도서 코너는 비교적 시끌시끌해서 동료 ... ...
- 미국 대통령도 아인슈타인도 증명 도전! 피타고라스 정리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 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피타고라스학파보다도 먼저 고대 바빌로니아인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알고 있었습니다. 기원전 1700년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점토판에 3:4:5, 8:15:17. 5:12:13 등 세 ... ...
- [일타 수맨스] 일타 강사가 말하는 ★수학 공부해야 하는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우리 아이들 수학 좀 잘 가르쳐 주이소”하더라고요. 잠에서 깼는데 너무 생생했어요. 수학 강사, 어쩌면 제 운명 아닐까요? 하는 데까지 열심히 해보려고요(웃음) ... ...
- [Space Math] 지구 궤도 떠도는 시한폭탄! 우주 쓰레기 처리 기업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최신 연구 결과에 따르면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지름이 약 930억 광년인 구체다. 그 너머에 아무것도 없을지 아니면 무한한 우주가 펼쳐질지 아직 아무도 모른다. 인간이 만든 우주 비행체 중에 가장 멀리 날아간 보이저 1호는 2023년 1월을 기준으로 지구로부터 약 160AU(*천문단위) 떨어져 있다. ... ...
- [제2회 SF숏포머블 공모전 수상작] Dear My PI수학동아 l2023년 07호
- Q. 독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나요? 제 웹툰을 보고 한 분이라도 ‘수학은, 우주는 낭만적이구나!’라고 느꼈으면 좋겠어요. 지구는 끝없어 보이는 우주에서 우연에 우연을 거듭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해요. 우린 그 지구에서 살고 있고요. 엄청난 우연 속에서 태어나 그 뿌리를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