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계도"(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성형수술에 관한 궁금증 6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새 얼굴 새 인생, 대학생활은 정말 행복하게 해 보고 싶다’.최근 종영한 JTBC 드라마 ‘내 아이디는 강남미인’에서 주인공이 대학 입학 첫 날 마음속으로 되뇌는 말이다. 동일한 제목의 웹툰 원작을 재구성한 이 드라마는 ‘성형미인’인 주인공이 대학 생활을 하며 겪는 갈등과 우정을 통해 ... ...
-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21세기 한국의 미래, 에너지자원공학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석탄, 석유와 같은 에너지와 금, 은, 철 등의 자원을 개발하는 광업은 삼국시대부터 이어져 온 한국의 주요 산업이었습니다. 학과의 역사도 100년이 넘습니다. 일제 강점기였던 1917년 지질조사소가 설립되고 그와 함께 경성고등공업학교에 ‘광산과’가 설립된 뒤 1939년 경성광산전문학교로 독 ... ...
- 김민철 경기과학고 영재선발부장 - “미래 노벨상 꿈꾸는 인재 찾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경기과학고는 1982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과학고로 경기 지역 과학 인재 육성을 책임져왔다. 2010년부터 영재학교로 전환돼 지금은 전국의 수재들이 입학을 꿈꾸는 과학 영재 교육의 요람으로 꼽힌다. 2018학년도에는 2450명이 경기과학고에 지원했고, 이 중 127명이 합격했다. 경기과학고 입학을 꿈 ... ...
- Part 3. 우주공장을 우주에서 짓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우주 건축가가 나타났다!망원경이나 위성 등 우주에 떠 있는 대형 구조물들은 대부분 크기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거대한 편이에요. 그래서 로켓의 한정된 공간에 싣기 위해 접히는 구조로 만들고, 되도록이면 가볍게 설계하지만 한계가 있지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기업 ‘메 ... ...
- Part 1.문제 해결의 비법, 컴퓨팅 사고력!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컴퓨팅 사고력은 한마디로 일상에서 벌어지는 일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사고 방법입니다. 말은 쉽지만 실체를 모르겠다고요? 그 궁금증을 밝혀 줄 중학생 컴퓨팅 사고력 대표를 소개할게요. 나와 주세요! 이준서 군은 서울 을지중학교에 다니고 있는 15살 학생입니다. 어리다고 얕보지 마 ... ...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신기전이 탄생했다는 사실을 1975년 최초로 밝혔다. 세종 시대에 제작한 우리 옛 로켓의 설계도를 찾았으니 이를 복원해서 날려보고 싶었지만 제작비가 많이 필요했기 때문에 수월하지 않았다. 그러다 1993년 대전엑스포 당시 조직위원회에 신기전 복원을 제안했고, 복원 발사에 성공하면서 ... ...
- [서울대 건축학과 재학생 인터뷰] 건축학은 공학과 인문학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위해 건축공학전공을 선택할 계획이다. 김 씨는 “설계도를 새로 만드는 것보다 설계도에 있는 것을 현실성 있게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더 매력을 느꼈다”고 말했다.김 씨는 아직 진로를 정하지 못한 후배들을 위해 조언도 덧붙였다. 그는 “건축학과는 수학, 과학 외에 다양한 학문을 두루 익힐 수 ... ...
- Part 3. 과학으로 되살린 화려한 조선 옷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맞춰 종광을 밟으면 된다.위에 앉은 작업자는 ‘화본(花本)’이라는 일종의 옷감 무늬 설계도를 이용해 순서에 맞게 실을 들어 올려 줄 수 있다. 화본은 반복해서 넣을 무늬의 기본 단위를 성글게 엮어 넣은 것으로, 작업자는 화본에서 순서대로 들어 올려야 하는 날실을 확인할 수 있다. 통사(通絲)로 ... ...
- [Future] 중국이 짓겠다는 135km 해저터널, 양대 기술 쟁점과학동아 l2018년 09호
- 8월 6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이 대만과 연결되는 해저철도터널 건설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이런 구상이 실현되면 세계에서 가장 긴 해저터널이 탄생하게 된다. 현재 세계 최장 해저터널은 영국과 프랑스를 잇는 유로터널이다(해저 구간 기준). 하지만 중국의 일방적인 ... ...
- [서울대 건축학과] 세상을 담는 공학, 건축학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담아내야 할 게 많고, 또 그것을 오랜 기간 담아내야 하는 것이 건축입니다. 건축물은 역사, 문화, 그리고 주변 사회를 용광로처럼 모두 녹여내야 합니다.”서울대 건축학과 학과장을 맡고 있는 여명석 교수는 건축, 그리고 건축물의 의미를 이같이 부여했다. 건축은 매우 보수적인 학문으로 알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