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한 밝음
광휘
빛남
짙음
농후함
강렬함
명확
d라이브러리
"
선명
"(으)로 총 894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과학교육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못하며 지질도 거칠다.교과서의 글자 크기도 차이가 난다. 북한 과학교과서는 인쇄가
선명
하지 못한데다가 글자까지 작아 가독성(readibility)이 매우 떨어진다. 대신 한쪽당 글자수는 남한 과학교과서보다 월등히 많다. 남한 교과서가 가독성 위주로 편집했다면, 북한 교과서는 경제성 위주로 편집한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영역의 빛을 받을 때 쉽게 들뜬다. 따라서 형광펜으로 쓴 글씨에 자외선을 비춰주면 더
선명
한 색을 볼 수 있다.실패한 성공작 포스트 잇읽던 책을 접지 않고 표시해 둘 때나 간단한 메모를 적어 눈에 보이는 곳에 둘 때 사용하는 작은 종이. 일명 포스트 잇. 이 작은 메모지가 전세계의 사무실에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약간 녹아서 물기가 있는 찰진 눈을 밟으면 포드득 소리가 경쾌하게 나면서 발자국이
선명
하게 찍힌다.눈사람을 만들 때도 찰진 눈을 써야한다. 이런 눈은 굴릴 때마다 땅바닦이 곱게 드러나도록 잘 뭉쳐져서 처음에는 주먹만한 눈덩이가 금새 사람 키만큼 커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흔히 작은 ... ...
수학의 난제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상태로서만이 아니라 마음과 몸으로 느낄 수 있는, 그래서 무엇보다도 구체적이고
선명
한 모습으로 우리의 실생활을 지배하고 있음을 의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만 그것은 1969년 인간이 최초로 달에 안착했을 때 한 기자가 말한 것처럼 “인간이 달에 도착해서야 비로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를 ... ...
Ⅱ 제2, 제3의 지동설 준비하는 유니버스 프로젝트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우주를 관측하는 수단이 가시광선과 전파로 국한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진국들은 더욱
선명
하게 관측하고, 지구 대기를 투과할 수 없는 파장대를 관측하기 위해 천체망원경을 인공위성에 실어 대기권 밖으로 올리는 일을 활발히 진행시키고 있다. 이러한 인공위성을 우주망원경(space telescope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효과가 높다. 왜냐하면 옷이 헐렁해 굴곡이 있으면 적외선이 굴절되고 간섭을 일으켜
선명
한 상을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물론 흐리고 비오는 날 태양빛이 구름에 의해 흡수돼 적외선이 지상에 도착하기 어려운 날보다는 말고 밝은 날이 적당하다 ... ...
PartⅢ. ③컴퓨터게임 속 주인공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시작하면서 그 게임의 선전 문구와 자신들의 슬로건을 “We define reality”라는 아주
선명
한 문구를 사용했다. “우리가 현실을 정의한다”는 대담하고도 어찌 보면 위험스럽기도 한 표현을 과연 게임회사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인가? 물론이다. 그래픽 머드게임은 동시에 1백명 이상의 게이머가 ... ...
달은 왜 크기가 변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밝은 달빛이 만든 그림자에 깜짝 놀라기도 한다. 이런 날에는 표면의 밝고 어두운 부분이
선명
해 예로부터 토끼나 사람의 얼굴을 연상하기도 했다. 밤하늘에서 가장 가까운 지구의 친구 달은 우주의 신비에 다가서는 첫번째 관문이다.음력을 알면 달이 보인다매일 다른 모습으로 떠오르는 달은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루페를 끼운다. 두 마분지 대롱을 연결하면 망원경이 완성된다. 멀리 있는 물체의 모양이
선명
해질 때까지 루페가 부착된 통을 넣었다 뺐다 하면서 망원경의 초점을 맞추어 관찰하도록 하자.확인하기 : 보고 싶은 대상을 찾아 초점을 맞추는 것이 익숙해졌으면 밤하늘로 망원경을 돌려보도록 하자. ... ...
이색적 만남 토성과 달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작품은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토성과 달은 밝기 차이가 많이 나 한 화면에
선명
하게 포착하기 어려운 대상이다. 이재우씨는 현직 한의사로 대학 1학년 때부터 대구의 아마추어 천문회인 '첨성대' 에서 활동을 해 온 열성파다. 또한 작년에는 헤일-밥혜성을 촬영해 동상을 수상한 경력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