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넌 다리가 몇 개니? 귀뚜라미 로봇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 있죠. 연구팀은 “무너진 건물 같은 환경에서 구조 임무를 위해 반딧불이 로봇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어요. 이어 “로봇이 스스로 불을 끄고 켜면서 실제 반딧불이처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연구를 발전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몸통에는 진짜 곤충과 달리 8개의 다리를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흔히 수학이 중요하다는 말을 한다. 그렇지만 수학이 인류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란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래서 수학자와 인문학자가 함께 자주 쓰 ... 과정에서 데카르트가 쓴 x, y, z를 사용하면서 우리가 지금까지 이 문자들을 미지수로 사용하게 됐다고 봅니다 ... ...
- [Rethinking] 세 번째 질문, x가 방정식에서 사라진다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보면 수학에서 미지수 x의 발견은 새로운 도구가 주어지는 상황인 거지요. 그래서 x의 사용은 우리 문명의 발전을 대표하는 하나의 사건이라고 말할 수는 있어요. 어찌 보면 우리가 자연 세계를 탐구하는 언어가 더 많아진 것이지요. 아까 기호를 쓰지 않는 것의 장점을 이야기하긴 했지만 그건 ... ...
- 최정담이 말하는 최-정-담,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고 싶지 않아!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계속하고 싶나? 그렇다. 내가 하는 일 중에 가장 가치있는 것 같다. 블로그에 한 사용자가 ‘작가 덕에 70 평생 처음으로 수학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정말 고맙다’라는 댓글을 남겼는데 정말 뿌듯했다. 또 가끔 강연을 하면 아이들이 내게 찾아와 질문한다. 학문에 대한 동경을 심어준 것 같아서 ... ...
- [특집] 인공지능과 함께 살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받아들이고, 관계를 맺게 될 겁니다. 지금까진 AI 기술을 어떤 방향으로 발전시키고 사용할 것인지 의사결정이 기업의 시장논리에 의해 이뤄졌었죠. 이제는 AI가 바꿔놓을 사회경제적 변화를 예측하고 여기로부터 오는 해악을 막는 논의를 할 시기입니다.” 신 교수 뿐 아니다. 기자가 인터뷰한 ... ...
- [과학사 극장] 갈릴레이는 정말 피사의 사탑에서 실험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엄격한 조사’가 이루어졌다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 말이 고문을 했다는 의미로 사용돼왔기 때문에 갈릴레이에게도 육체적 고문이 가해졌다는 것이다. 진실을 말하면 육체적 고문을 당했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당시 교황이었던 우르바노 8세가 육체적 고문을 금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문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인 실리코(in silico)란 신조어가 있어요. 컴퓨터로 과학을 하는 분야를 말해요. 여기서 따온 실리코에 제약분야를 가리키는 팜(pharm)을 붙 ... 타깃이 알려지지 않았다. 실리코팜은 불치병 연구자들이 실리코팜이 개발한 솔루션을 사용해 이들 타깃을 찾고 치료제를 개발하는 미래를 바라본다 ... ...
- [지구사랑 탐사대] 대한민국 대표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수료하면 탐사활동 인증서와 기념품을 받아요. 내가 올린 데이터는 과학자의 연구자료로 사용돼요. ★팝콘플래닛 앱을 통해 지구사랑탐사대 주요 일정이 공지되니 반드시 앱을 설치해 주세요. 이때 중요 공지를 놓치지 않도록 ‘푸시 알림’을 꼭 허용해 주세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예전처럼 활을 잘 쏘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운동을 자제했더니….”“현재 활은 활시위의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더 무거운 화살까지 사용해 활을 쏘려면 큰 힘이 필요해요! 즉, 팔 힘이 좋아야 한다고요!”꿀록 탐정의 지적에 주몽의 표정이 불타올랐어요.“다시 운동을 시작해야겠군요. 불타오르네~ ... ...
- [Rethinking] 두 번 째 질문, 기호 x가 수학에 끼친 영향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어떤 맥락 없이도 원하는 설명을 간단한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방정식에서 x의 사용, 즉 기호화라는 게 수학의 개념화 혹은 추상화 같은 데에서 굉장히 큰 발전을 이뤄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반대로 얘기하면 x라는 기호가 수학을 발전시켰다기보다는 수학이 그만큼 x라는 기호를 수용해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