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공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열 때문에 손상을 입기도 한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공해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연구가 계속 이뤄지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공해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 ... ...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쓰고 버려진 캔이 어떻게 별이 될 수 있냐고? 놀라지 마. 큐브샛이 되어 우주로 날아가면
밤
하늘의 별처럼 반짝일 수 있다는 얘길 들었어. 내 꿈은 이루어질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 ...
[과학뉴스] 생체시계가 작동하는 원리를 밝혀낸 과학자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만들어요. 이 단백질은 TIM 단백질과 결합해 다시 피리어드 유전자의 활동을 막지요. 즉,
밤
에는 PER 단백질의 양이 많아졌다가, 낮에는 PER 단백질이 다시 피리어드 유전자의 활동을 막는 데 쓰이면서 양이 점점 줄어들지요. 몸속 세포는 이렇게 하루를 주기로 변하는 PER 단백질의 양으로 시간을 ... ...
[쇼킹 사이언스] 아름답지만 치명적인 푸른 용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뜨거운 열기와 만나 타오르면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 푸른 불꽃은 태양 아래에서보다
밤
에 더 잘 보이는데, 최고 5m까지 치솟으며 장관을 연출한답니다. 이처럼 카와이젠 화산은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산성 호수와 자욱한 유황기체 때문에 매우 위험한 곳이에요. 하지만 에메랄드빛 호수와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선인장에 대해 궁금해서 자료를 더 찾아봤어요. 사구아로 선인장은 뜨거운 낮을 피해
밤
에만 꽃을 피우고, 꽃가루는 ‘넥타박쥐’가 옮겨 줘요. 추위나 더위로부터 동물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죽고 나서도 개미나 뱀 등의 안식처가 된다고 해요. 살면서 또 죽어서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9호
그리고 북극의 소용돌이 연구에 도움이 될 거예요. 이제는 정말 가야 할 시간이에요.
밤
하늘에서 토성을 보게 되면 저를 한 번씩 떠올려 주세요. 안녕~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일반상대성이론이 옳다면 태양 곁을 지나던 빛이 휘어져, 일식 때 측정된 별의 위치와
밤
에 본 별의 위치가 달라야 해요. 실제 측정 결과 에딩턴은 둘 사이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어요. 일반상대성이론이 예측한 것과 딱맞았지요. 개기일식 덕분에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할 수 있었던 거예요. 또한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대기 상태 정보를 보내 줬답니다. 화성은 낮과
밤
의 기온차가 커요. 그래서 낮에서
밤
으로 바뀔 때 순간적으로 대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가 얼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동시에 대기는 갑자기 차가워지며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돌풍을 만들어요.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 ...
Part 2. 100일 동안 하늘을 둥둥~ 초고압 기구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탄성을 유지하면서 압력을 견딜 수 있거든요. 또 내부의 압력이 항상 바깥보다 커서
밤
에도 부피가 줄어들지 않아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답니다. NASA의 목표는 초고압 기구를 100일 이상 띄우는 거예요. 지금까지 가장 오래 뜬 초고압 기구의 기록은 46일 20시간 19분이랍니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