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물거품에 비해 오래 유지된다(그림 ➊). 하지만 물거품은 중력 때문에 막을 이루는 물이
밑
으로 빠지는데다 막 안팎의 압력 차로 물이 막 가장자리로 이동이다. 그 결과 막이 급격히 얇아지면서 터진다(그림 ➋).비눗방울이 무지개 색을 띠는 이유비눗방울을 자세히 보면 기름처럼 무지개 색을 띤다.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24km 이상의 바람이 바닷물을 위로 힘차게 밀어 올리면 높이 솟은 바닷물은 중력에 의해
밑
으로 떨어진다. 이때 공기와 바닷물이 섞이면서 바다 거품이 만들어진다. 이때 생기는 거품의 양은 바다표면의 마찰력과 바람의 속도에 비례한다. 이런 바다 거품을 알면 바다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바람의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곡선과 카테노이드 곡선이 있다. 줄의 양 끝을 잡고 있으면 중력에 의해 가운데가
밑
으로 처지는 곡선이 만들어지는데, 이를 ‘현수선’이라고 한다. 이를 이용해 만든 다리인 현수교에서 볼 수 있는 현수선도 극소곡면이다. 또 현수선을 회전시키면 나타나는 카테노이드 곡선과, DNA의 이중나선, ... ...
‘빵’ 터뜨려 새로운 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피부 아래 그물처럼 촘촘히 깔린 신경망으로 느낀다. 이번에 개발한 주사기는 피부
밑
원하는 위치까지 약물을 주사할 수 있다. 신경망 직전까지 약물을 넣으면 통증이 없다. 신경망 너머까지 약물을 전달한다 해도 노즐의 크기가 10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 정도로 아주 가늘어 신경망을 ... ...
명작에 1000년의 수명을 더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전에는 드물게 X선이나 적외선 촬영 장비를 동원하기도 한다. 서양의 유화처럼 그림
밑
부분에 다른 그림이 숨어있는 경우도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이다. 복원과정에서 아래쪽에 숨어있는 그림의 존재를 알지 못하면 정확한 복원 방식을 선택하기 어렵다. [지류 문화재 복원의 첫 단계는 클리닝이다. ... ...
반지의 선택 그린랜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폭발하고 슈퍼맨이 지구에 도착해 미국 캔자스 주의 옥수수 밭에 떨어진 뒤 켄트 부부
밑
에서 자라 어른이 된 뒤 안경을 쓰고 메트로폴리스에 있는 데일리 플래닛 신문사로 들어가 로이스 레인과 만나 사랑에 빠질 줄’ 알고 자리에 앉는다. 단지 ‘내가 아는 그 사람이’ 어떻게 재창조되었을지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사고 시 승객의 목숨을 지켜주기 보다는 제트기류 등으로 기체가 흔들릴 때 승객이 좌석
밑
으로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막는 용도로 안전띠가 존재한다. 한국기술교육대 윤영한 교수는 “비행기에 3점식 이상의 안전띠를 장착하면 좌석이 기존보다 무거워진다”며 “비행기가 이착륙하거나 ... ...
화산이 들썩들썩!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어떤 물질을 통과하느냐에 따라 통과하는 속도가 달라진답니다. 그랬더니 백두산
밑
에서 마그마가 들어 있는 두 개의 커다란 방이 발견됐어요. 중국에서도 비슷한 연구를 한 결과, 백두산 아래에 총 네 개의 마그마 방이 있는 것을 알아냈어요. 즉, 백두산은 마그마가 없는 사화산이 아니라는 거예요.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교수법을 이용해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면 문제가 없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교사
밑
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서 문제가 생긴다. 특히 교사를 감독하는 사람이 없어 교사가 열심히 가르치지 않아도 알 길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3~4년간 스웨덴은‘세계 학업성취도 비교평가(PISA)’에서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기둥 역시 이 정도 길이가 필요했다. 기둥을 만든 뒤에는 안에 금속 말뚝을 박았다. 바다
밑
에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서다. 그런 뒤 모래를 부어 튼튼하게 했다. 이렇게 만든 원형 셀을 29개 이어 붙이고 사이사이 빈 곳을 보강해 700m짜리 반원형 댐을 만들었다. 안쪽에 고인 물을 빼자 마치 모세의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