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져
레이저광선
광선
광메이저
ipod
ipodmini
ipod 5세대
d라이브러리
"
레이저
"(으)로 총 1,346건 검색되었습니다.
적혈구만 한 ‘나노 다보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1호
눈에 보이지도 않는 걸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액체 합성수지나 세라믹에
레이저
를 쏘면 액체가 굳어요. 연구팀은 이렇게 굳은 물질을 수백 층 넘게 쌓아 다보탑을 만들었어요. 이 다보탑은 폭20*마이크론, 높이 25마이크론이에요. 머리카락 단면 위에 이 다보탑을 20개나 쌓을 수 있어요. 연구팀은 이 ... ...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위성은 중요한 인공위성 주위에 있다가 적의 공격을 막아 내. 몸으로 막아 내거나
레이저
를 이용해 날아오는 미사일을 파괴하는 거지. 어때, 창과 방패의 대결이 정말 흥미롭지?군사용으로 인공위성을 사용한다는 건 안타까운 일이지만, 모든 과학기술에는 양면성이 있는 법이야. 앞에서도 보았듯이 ... ...
돌아온 로보트 태권V(브이)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쓰러지지 않도록-에너지거대한 몸집으로 뛰고 날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하다. 게다가
레이저
빔이라도 쓸라치면 더더욱 많은 에너지를 저장해 놓아야 한다. 하지만 날렵해야 하는 태권V가 엄청난양의 연료통을 짊어지고 다닐 수는 없는 일. 그렇다면 태권V는 몸 안에 핵융합 발전기를 갖추고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극저온, 고자장하에서 양자화 되어 자장의 세기에 관계없이 일정한 저항을 나타내는 현상
레이저
빛을 일정한 주기로 진폭, 즉 빛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것주파수가 같은 두 빛이 혼합되었을 때 서로 작용하여 혼합된 빛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현상사각봉이나 원형봉의 양 단면을 평행하고 일정한 ... ...
PART1 플라스틱, 21세기를 입힌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홀로그래픽 데이터 저장장치를 개발했다. 손바닥만한 크기에 수mm두께의 플라스틱에
레이저
펄스를 쏴 화학 반응을 일으켜 3차원 홀로그램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수명이 50년으로 20년이 안 되는 CD나 DVD보다 월등하다.자전거 전문업체인 미국의 TAG 휠스사는 플라스틱 바퀴살인 FRX5를 사용한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다른 성질을 가지게 될뿐 아니라 전자(電子)의 흐름 등에도 방해가 된다 이 때문에
레이저
나 반도체 등 균일하고 결정입계가 없는 단결정을 요하는 분야에서는 그것을 생장시키는 공정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된다 그러나 단결정을 키워내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기술적 난점이 완전히 해결된 것은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작아져 해상도를 증가시킨 것과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자동 에뮬레이션 변환 기능
레이저
프린터상에는 다양한 에뮬레이션(모방)기능이 있는데, 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패널상의 메뉴에서나 PC에서 명령어로 변경해야 한다 AES는 호스트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린터가 내부적으로 분석해 ... ...
운동량 체크하고 걸음법까지 보정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프로스펙스가 한국신발피혁연구소와 함께 성인 3000여명의 발을 39개 부분으로 나눠 3D
레이저
스캐닝기술로 정밀하게 측정해 개발한 한국인의 표준발 모델이다. 한국인의 표준발은 미국이나 일본인의 표준발과 비교했을 때 발의 길이에 비해 발의 둘레가 더 크다. 따라서 한국인에 비해 발의 둘레가 ... ...
과학이 예술에 빠졌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브루너 박사는 과일박쥐 비행을 컴퓨터모델로 만들었다. 박쥐가 날개를 펄럭일 때마다
레이저
와 정교한 카메라로 그 동작을 빠짐없이 녹화했다. 항공공학 엔지니어인 데이비드 윌리스 교수는 과일박쥐의 두 날개 주변에 공기의 흐름이 바뀌는 양상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표현했다 ... ...
춤추는 분자의 동영상 찍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현재 다차원분광학을 이용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 이론화학자가
레이저
를 주로 다루는 물리학에 뛰어드는 일도, 단백질 연구를 시작하는 일도 쉽지 않았을 텐데 그의 거침없는 변신에 어떤 비결이라도 있지 않을까.그가 분광학을 공부하게 된 계기는 ‘귀’가 얇은 탓이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