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서로의 몸을 이해하다 동물과 함께 살아가는 방법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어느 순간 우리 주변에 개와 고양이를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매일 달라지는 동물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은 과학을 철학적으로 연구하는 학자들에 ... 지금 여러분이 관심 있는 사회 현상과 과학지식을 연결해 보고 의견을 정리해 보세요. 과학기술학의 첫 걸음이 될 것입니다 ...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수학동아 l2022년 04호
- 한평생 수학만 연구해야 수학자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여기 주목! 오늘의 주인공은 대기업에서 5년간 일을 하다가 수학자가 된 현윤석 인하대 수학과 교수예요. 2021년부터 폴리매스 대한수학회 문제를 출제하고 있는 현 교수님은 대학 시절부터 10년 넘게 그야말로 수학만 판, 전도유망한 수학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수정 뉴턴 역학을 합쳐 초유체 암흑물질 이론을 만들기도 했다. 이론이 제기된 뒤 과학기술이 발전하며 이를 증명하는 과정은 때로는 수백~수십 년이 걸린다. 블랙홀의 개념이 탄생한 건 1783년 일이다. 그리고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해낸 건 그로부터 200여 년이 지난 2019년이었다. 영국의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소중한 물건은 여기에! 나만의 비밀 상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점점 작아졌고, 열쇠 없이도 보관할 수 있도록 비밀번호 방식의 자물쇠가 생겨났어요.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잠금장치는 다른 사람이 쉽게 알아차리거나 복제하기 어렵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의 몸이 암호로 사용되지요. 스마트폰 잠금을 해제할 때 지문이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 ...
- [과학뉴스] 원인 불명 꿀벌 집단 실종 사태 발생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지난 1월 경남, 전남, 제주 등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된 꿀벌 실종 사태가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3월 2일 한국양봉협회가 실시한 전국 회원 농가 피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2만 3697곳 중 4173곳(17.61%)에서 꿀벌의 집단 실종 현상이 나타났다. 피해 농가에서 양봉하는 벌통은 39만 517개로, 실 ... ...
- 암흑물질의 추적자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인간이라는, 우주에 비하면 티끌도 안 되는 작은 존재가 모차르트의 음악을 들으며 기쁨을 느끼는 이유가 뭘까요?”3월 4일 인터뷰를 통해 만난 양운기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가 기자의 우문(愚問)에 질문으로 답했다. 보이지도, 쉽게 감지하지도 못하고, 심지어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르는 ... ...
- [융복합@파트너] 지속 가능한 태양광 해수 담수화 친환경 수자원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지속가능화학 연구실에는 여느 연구실에서 보지 못했던 실험 장비가 있었다. 마치 식물의 뿌리처럼 긴 섬유 가닥이 물이 담긴 비커 안에 뻗어있었다. 김성균 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는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물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수도꼭지만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과학을 깊고 폭넓게 이해할 수 있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죠. 현대의 시민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 우리가 참여할 수 있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도 다양해졌어요. 어떤 프로젝트가 있는지 알아볼까요?QR코드를 찍으면 해당 시민과학 프로젝트의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현화초등학교 교사, 시민과학 프로젝트 GLOBE 시민과학자 김지연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교수 나미라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연구원 시민과학의 무엇이 시민과학자로 활동하는 동기가 되나요? 내가 측정하고 관측한 데이터가 모여 다른 사람과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