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사
d라이브러리
"
개죽음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우주가 수축하면 당신은 젊어지기 시작한다"우주가 팽창에서 수축으로 바뀌는 순간부터 사람은 젊어지기 시작한다. 다시 한번 고교를 졸업한 뒤 고교에 입학하고 중학을 졸업한 뒤 중학에 입학하고 마침내 어머니의 태속으로 들어가서 ‘무(無)’로 돌아간다···.수축기의 우주에 사는 인간에게 ... ...
시계의 발달②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시간의 주인이 되기 위한 인류의 열망은 오랜 세월에 걸친 시계발달의 역사로 표현되어왔다. 태양의 변화를 기준으로 측정한 해시계, 그 한계를 뛰어넘어 어둠의 시간을 측정했던 물시계와 보다 짧은 간격을 재는 데 유용했던 모래시계는 이러한 인류의 열망과 노력의 소산이었다. 해시계로부터 그 ... ...
PART3 명노열군과 한국의 심장이식수술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최근 국내에서도 최초로 심장이식수술이 성공을 거뒀다. 이를 계기로 심장이식의 어제와 오늘을 알아본다.먼저 채 피어보지도 못하고 숨진 명노열군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 아울러 슬픔을 극복하고 자식의 장기를 제공, 죽어가는 다는 생명을 건져준 명군의 부모에게 감사를 드린다.아뭏든 명노 ... ...
우주의 비밀을 알려줄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만약 우주에 반(反)물질과 같은 것이 있다면 과학자들은 그것을 검출하는 방법을 곧 알아낼 것이다.한때 과학자들은 반물질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했었다. 생성된 모든 물질에 대해 그 만큼에 상응하는 반물질도 생성되어 있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 둘은 서로 반대일 것이다. 물질이 양전 ... ...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조물주의 영역을 도전해가는 인공심장. 1982년 최초의 수술후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 제1단계 공압식은 서서히 물러가고…‘바니 클라크’와 ‘윌리엄 슈로더’란 이름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을 것이다. 둘다 인공심장을 지닌 채 삶의 마지막 순간을 맞은 사람들이다. 그래서 혹자는 그 ... ...
PART 4 초신성 폭발의 수수께끼 「초신성1987A」는 청색초거성이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지금까지 「싹」을 보았을 뿐, 이제부터 「꽃」을 볼 차례이다. 초신성 1987A가 출현한지 꼭 1년이 되었다. 1604년 '케플러'가 발견한 이래 근 4백년만에 밤하늘을 밝힌 초신성 1987A는 '금세기 최대의 천문학사건'이라고 떠들썩하던 흥분기를 거치고 이제 차분한 가운데 데이타의 수집과 분석이 활발히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기형아출산, 악성종양, 변형된 식물…. 원자로에서 누출된 방사능은 생명체계에 시간이 흐를수록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다. 체르노빌과 드리마일원자력 발전소 사고로인한 방사성 물질 확산은 지구상의 곳곳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이상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동물의 이상출산과 사산 폐사, 식물의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황금을 소유하려는 욕망은 어쩌면 인간에 공통된 감정일지도 모른다. 그것도 남보다 더욱 많이 그리고 한없이 소유하려는 욕망인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인간이 소유욕이 고개를 들기 시작한 것은 농사를 짓기 시작했던 신석기 시대부터였다. 이시대부터 사유재산이 사회적으로 인정되었기 때문이 ... ...
구멍뚫린 방사능 오염 감시체제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체르노빌」원전사고의 영향으로 서울지역 강수물에 허용농도의 1백배가 넘는 방사능이 포함됐다는 충격적인 사실등이 에너지연구소의 보고서로 밝혀졌다.환경오염문제는 이제 한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며 이미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 문제로 비회되고 있다. 그것은 우리가 호흡한 대기가 수주일 ... ...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병원체로서 인간과 기나긴 투쟁의 역사를 갖는 세균은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쓰이기도 한다.전염병이 인류의 주된 공포의 대상에서 벗어난 것은 불과 얼마전의 일이다. 인간과 전염병의 오랜 투쟁의 역사에서 인간이 우위에 서게 된 계기는 약1세기 전 전염병의 정체가 세균임이 밝혀지고부터였다.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