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01
물체를 마찰해 정전기를 발생시킬 때, 어떤 물체가 어떤 전기를 띠게 되는가를 알려주는
지표
가 대전열이다. 예를 들어 유리와 나무를 비비면 유리는 (+)전기, 나무는 (-)전기를 띤다.대전열(+) 털가죽 - 상아 - 유리 - 명주 - 나무 - 솜 - 고무 - 셀룰로이드 - 에보나이트 (-)정전기봉의 경우 PVC관을 ... ...
폭넓은 공부와 꼼꼼한 준비 부탁한 출제의도
과학동아
l
200112
이동규 교수는 조금 다른 입장을 보였다.“ 물론 대기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지표
온도는 확실히 차이가 한다. 하지만‘최근 10년 간 쌓인 화산재’라는 표현은 너무 주관적이다”라고 이번 문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수험생이 비교할 수 있는 객관적 자료가 주어졌더라면 좋은 문제가 될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12
감시해오고 있다. 세계 각국은 매년 환경감시위성들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 얻은 환경
지표
에 맞춰 경제 활동에 따르는 환경오염물 배출을 극소화해야 한다. 최근 WEEO는 세계 복지를 위해 ‘국제 환경·경제 핵융합에너지 발전 조약’을 채택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도 참여하는 4개국 핵융합 발전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12
ㄹ(최근 10년간 분출된 양만큼의 화산재가 성층권에 퍼져있을 경우) 가운데 어느 경우에
지표
의 평균 온도가 더 낮은가의 문제인데, 어느 쪽을 택하는가에 따라 답안이 ①번/②번으로 갈린다. 그런데 대기가 없어 온실효과가 사라져 현재보다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와, 대기는 있지만 화산재로 인해 ... ...
1백년 전 시베리아 대폭발 새로운 설명 제기
과학동아
l
200112
뭉친 것과 비슷하다. 따라서 이 물체는 대기 중에서 폭발해서 부서졌고 단지 충격파만이
지표
에 도달했다는 것이다.과학자들은 그 동안 이 사건의 배후에 혜성이나 소행성이 있지 않은가 하고 의심해왔다. 하지만 충돌에 의해 생겨난 구덩이(크레이터)도 발견되지 않았고, 여러 조사에서도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12
효과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데아닌은 심신을 안정시키고,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의 뇌파
지표
인 알파파를 낸다고 밝혀졌다. 데아닌은 카페인에 의한 뇌 내 신경전달물질(세로토닌)의 상승을 억제해 흥분을 억제하고 혈압저하 작용을 나타낸다.카페인은 중추신경계에 대한 자극제로 작용한다. 이는 ... ...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11
내적으로 처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인간의 정신과정을 반영하는
지표
로 많이 사용된다. 반응시간이 길어질수록 자극을 처리하는데 정신과정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만약 주위에 사람이 있다면 반응시간에 대해 간단한 실험을 해볼 수도 있다. 우선 주위 사람에게 ... ...
한반도 강타한 공포의 토네이도 용오름
과학동아
l
200110
깔때기 구름, 즉 토네이도가 생긴다.우리가 흔히 말하는 토네이도는 적란운과
지표
사이에 생기는 깔때기 모양의 구름기둥이다. 흔히 사람들은 바다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를 물기둥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는 물기둥이 아니라 구름기둥이다.이화여대 환경공학과 박선기 교수는 “깔때기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10
볼 수 있다. 볼링공 정도의 크기라면 대기권에서 다 타버리지 않고 살아남은 알갱이가
지표
면까지 떨어질 수 있다. 우리 눈으로 볼 수 있는 별똥별은 전지구적으로는 하루에 25만개 가량 떨어진다고 한다.유성체는 대기권 상층부 80-1백30km 상공에서 공기와 마찰로 타버리는데 이 현상은 지상 2백km ... ...
잠버릇을 알면 건강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09
자기도 잘 알지 못하는 잠버릇을 갖고 있다.사소한 잠버릇이라도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지표
로 삼을 수 있다는데, 우리의 잠버릇은 과연 어떨까.누구나 살아가면서 버릇이 생긴다. 버릇은 ‘마음이나 몸에 배어 굳어버린 성질’이라서 스스로 알지 못하는 사이에 반복되는 속성이 있다. 다른 사람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