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련자료
관련데이타
d라이브러리
"
관련데이터
"(으)로 총 1,032건 검색되었습니다.
2. 명함 같은 휴대폰 나온다
과학동아
l
200208
한손에 쏙 들어오는 휴대폰이 한번 더 작고 얇아지기 위해 도약중이다. 바로 적층 모듈화 기술 덕분이다. 종이보다 얇은 세라믹을 여러 층으로 쌓아 각종 기능을 담는 이 기술은 한걸음 더 나아가 모든 전자통신기기 사이에 선을 없앨 수도 있다. 여러분은 요즘 어떤 휴대폰을 갖고 다니는가. 아직 ... ...
3.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남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208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가 발표됐지만 지금까지도 유전자를 예측하는 가장 기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분석된 유전자 정보를 질환 치료와 같이 실질적인 인간 생활에 적용하려는 연구도 그리 성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포스트 게놈시대에 생명과학자가 풀어야할 남겨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07
반도체칩 기술의 핵심은 실리콘 기판에 얼마나 많은 회로를 새길 수 있느냐다. 이 기술은 2010년 이후에는 집적화의 한계에 다다를 전망이다. 나노기술은 그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까.1cm³크기의 각설탕에는 ${10}^{24}$개의 원자가 들어있다. 각각의 원자가 디지털 정보인 0이나 1을 갖도록 할 수 있다면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07
건강검진을 위해 혈액검사를 하려면 주사기로 피를 뽑는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최근 인체에 빛을 쪼여 투과된 빛을 측정하는 생체분광학이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화장실에 앉아 건강검진까지 가능케 해줄 생체분광학을 만나보자.병원에서 겪는 괴로움 중 하나가 주사기로 피를 뽑는 일이다. 따끔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07
인간의 게놈지도가 완성된 뒤, 생명과학계의 관심은 단백질로 쏠리고 있다. 생명현상의 바탕이 되는 단백질의 구조를 밝혀 신약 개발을 앞당기고 있는 구조생물학을 만나보자.2001년 2월 12일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연구 성과가 국제 컨소시엄과 셀레라사에 의해 동시에 발표됐다. 인간이란 생명체가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06
과학의 여러 학문 중 가장 거리가 먼 사이가 물리학과 생물학이다. 현재 이 두 분야의 확연한 경계를 허물고 서로를 융합하려고 하는 분야가 자라나고 있다. 생명현상을 물리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생물의 기본 법칙을 찾고자 하는 생물물리가 바로 그것이다. 중학교 때 한권으로 된 과학 과목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05
‘빛’하면 떠오르는 인상은 무척 빠르다는 것이다. 이런 빛을 마음대로 조작하기란 무척 어려운 일이다.그런데 최근 2-3년 동안 물리학자들은 빛을 사람의 달릴 때보다 느리게 하는데 성공했다.더 나아가 정지시키기까지 했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초속 8m 달리는 느림보, 완 ... ...
연구의 주역 루시 테일야칸 박사
과학동아
l
200204
미 오크 리지 국립연구소의 루시 테일야칸 박사는 기자와의 이메일로 이뤄진 인터뷰에서 “기포 핵융합 실험을 재현하고자 하는 전세계 모든 과학자들을 기꺼이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테일야칸 박사(49)는 인도출신으로 렌슬래르 폴리테크닉 대(RPI) 핵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번에 논문 ... ...
비커 속에 나타난 태양 에너지
과학동아
l
200204
커피 잔 두개 크기의 비커 속에서 핵융합을 일으키는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두고 전세계 과학계가 논란에 빠졌다. 핵 시대 이후 최대의 발견이라는 찬사에서부터,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지난 1989년의 상온핵융합 소동과 마찬가지라는 비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는 상황.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02
언젠가 ‘현재’였고 지금은 과거가 돼버린 문화유산. 선조가 남긴 문화재를 소중히 간직해야 하는 이유는 이들 문화재가 인류사의 연속성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훼손되기 쉬운 문화 유산의 영원한 존속을 보장한다는 디지털 복원은 과연 무엇이며 어떻게 이뤄지는 것일까.‘디지털 복원’이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