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일부 열려있는 것이다.이처럼 열려진 자장을 따라 물질과 에너지가 태양풍의
형태
로 빠르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그 지역은 차고 낮은 밀도의 코로나지역으로 바뀐다. 동시에 방출되는 X선의 세기도 약해져 X선사진으로 보면 주변보다 어둡게 나타난다. 마치 틈새가 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태양의 ... ...
녹색 식물의 탄생 How Green Plants Began?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갖추지 못하고 있다. 박테리아는 매우 다양하다. 일부 학자들은 약 14억년전에 여러 다른
형태
의 박테리아 세포들이 결합해 동·식물을 만드는 복잡한 세포가 된 것이 아닌가하고 생각한다. 세포핵은 유전 기능을 수행하던 박테리아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는 에너지 창출을 전담하던 박테리아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수면기압을 상승시키고 육지의 지면 기압을 하강시킨다. 그리하여 (그림5)와 같은 기압
형태
와 순환이 일어난다. 이러한 바람을 해풍이라 한다. 밤에는 육지와 그 위의 공기의 냉각이 일어나 낮과 반대의 순환이 되며 이를 육풍이라 한다.해륙풍은 햇빛이 강하게 내리쬐는 지역과 한냉해류가 흐르는 ... ...
양자물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실제로는 광파가 물결파와 같이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7. (3)물질이란 에너지가 모여진
형태
이다. 질량―에너지등자는 아인슈타인의 E=mc²에 의해 주어진다. 전자의 크기로 줄어든 전하의 위치에너지와 등가인 질량은 바로 전자의 질량이다.8. (3)불확정성 원리는 전자나 양성자와 같은 '입자'의 파동성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개발했다.광통신은 머리카락 3분의 1굵기의 광섬유를 이용해 정보를 빛의
형태
로 바꿔 빠르고 정확하게 보내는 방법이다. 이 경우 통신 거리가 근거리통신망(LAN)을 제외하고는 보통 수백km 이상이므로 빛의 손실이 항상 문제로 남아 있었다. 빛은 광섬유가 1km를 지나는 동안 보통 세기가 1%약해지며 1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크게 변모할 것으로 예상되고 또 그렇게 변화되고있다.PARTⅠ에서는 전자출판의 개념과 미래의 출판
형태
를 PARTⅡ에서는 신문제작에 주로 이용되는 CTS시스팀에 관해서 알아본다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개발했지만 실용화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디스크책에서 더 나아간 출판
형태
가 화면책이다. 화면책이란 출판사의 대형 하드디스크에 독자가 자신의 퍼스널컴퓨터를 전화선으로 연결하여 컴퓨터화면상에서 내용을 마음대로 읽어볼 수 있게한 것이다. 이때 독자는 언제든지 읽은 ... ...
해류, 기상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수온과 기온의 차이가 클수록 또한 공기의 습도가 적을수록 강하다. 이동되는 열의
형태
는 주로 잠열인데, 이는 물이 수증기로 바뀔 때 필요로 하는 열로서 물 1g당 5백39cal나 되는 많은 열이 수증기에 흡수된다. 잠열은 직접 온도 상승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데 이 열은 후에 수증기가 다시 물로 바뀔 ... ...
국내 최초의 직업병전문연구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중독성 물질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을 뿐더러 현재까지 중요시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
의 직업병이 속속 모습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들어 환자수가 급증하는 직업병 중 대표적인 예는 소음성난청이다. 또한 정확한 숫자를 파악하기 힘들지만 환자가 상당수에 이를 것으로 추측되는 직업병 ... ...
무더위와 피부관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옷이나 동물의 털에 접촉된 경우, 옻나무가 타면서 나는 그을음에 접촉된 경우에는 다른
형태
의 피부발진이 나타날 수 있다.옻나무에 접촉이 된 후에는 비누로 씻어 피부에 묻어 있는 옻나무수지를 제거, 독성을 없애면 피부염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입었던 옷도 빨아야 한다.야누스의 두 ... ...
이전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6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