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력
원조
협조
보조
후원
지원
제휴
d라이브러리
"
도움
"(으)로 총 8,14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수 있는 전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이 손실을 줄이면 저전력 반도체를 설계하는 데 큰
도움
이 된다. 최적의 설계 기술을 찾아라신 교수는 지난해 3월 ‘고품질 전자설계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ISQED)에서 ‘마스크 재사용을 통한SoC 설계비용 감소 기법’이란 논문으로 국제전기전자기술협회(IEEE) ... ...
떡국 만든 로봇 '떡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250g의 쌀이 필요하다면, 200그릇의 떡국을 만들려면 쌀은 얼마나 필요할까? 동네 사람들의
도움
을 받아서 쌀을 구하도록 하자. 쌀 한 부대에 20㎏ 씩 담겨져 있다고 하면, 쌀은 몇 부대나 필요할까? mission 3가장 긴 젓가락은 어떤 것일까?드디어 썰렁 홈즈의 떡국 로봇인 떡보트가 떡국을 만들어 내기 ... ...
특집1. 당은 비만의 주범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소비량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아무리 건강에
도움
이 되는 식품도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과유불급’(過猶不及)이다. 모든 영양소를 균형 있게 먹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당 데이터베이스 구축필요지난 1986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설탕이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그만두게 하고 싶으면 그냥 무시하는 것이 제일 좋다.개의 친근한 성격은 노인들에게 큰
도움
이 된다. 미국 세인트 루이스대 윌리엄 뱅크스 박사팀은 요양소의 노인들에게서 개와 단둘이 있을 때 다른 노인들과 개를 함께 만났을 때보다 외로움이 더 줄어들었다는 대답을 얻었다. 연구팀은 ... ...
다이어트 호르몬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다이어트 호르몬 ‘렙틴’의 메커니즘을 한국 과학자가 풀었다.1994년 쥐에서 처음 발견된 렙틴은 식욕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을 이용하면 식욕을 조절 ... 내분비의학자인 우베르토 파고토 박사는“이 발견이 더 좋은 비만 치료약을 만드는데
도움
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괄처리의 반대 개념이며 사용자가 수시로 부분적인 결과를 볼 수 있어 문제 해결에 큰
도움
이 된다 수력발전 방식의 하나 도수철관(導水鐵管)의 거리가 너무 짧아 큰 낙차를 얻을 수 없을 때 수로를 만들어 댐의 물을 발전소로 유도하고 그 사이의 낙차를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방법을 말한다이 때 ... ...
PART1 한반도를 뒤흔들 5대 기후변화 조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받아 2000년 이후 한반도에서 나타나고 있는 대표적인 기후변화 조짐 5가지를 선정했다.(
도움
말 주신 분 : 기상청 기후연구실 권원태 실장, 서울대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김경렬 교수, 부경대 환경대기과학과 오재호 교수, 한중대기연구소센터 정용승 소장)1. 한강에서 스케이트 못 탄다올 겨울 여성의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뜻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사람이나 기계 할 것 없이 필요할 때마다 다른 기계의
도움
을 받을 수 있다. 서비스융합표준연구팀 이승윤 팀장은 “사람이 컴퓨터에 접속하는 것처럼 이동통신망과 인터넷, 로봇과 냉장고처럼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전자기기들이 상호간 서비스를 이용하는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언어 연구는 전자사전이나 자동번역 프로그램 개발에도 큰
도움
이 될 전망이다. 서울대를 비롯한 각 대학에서는 전산언어학, 언어정보처리 등 컴퓨터와 공학적 이론을 접목해 언어학을 연구하는 과목을 개설하면서 디지털 언어 연구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로봇과 생명체가 결합한 새롭고 독특한 개체를 선보였다. 그녀는 KAIST 전산학과 연구팀의
도움
을 얻어 자신의 새로운 생명체 ‘터부요기니’를 반도체에 심었다. 틀에 박힌 캔버스에서 벗어나 색다른 작업 방식을 보여준 그녀의 실험은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 ...
이전
624
625
626
627
628
629
630
631
6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