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2만회선용량 TDX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지아 등과 카메룬 오만 이란 쿠웨이트 등의 중동 아프리카
지역
의 10여개 국가. 필리핀에는 이미 대우통신이 수출하고 있다. 이번에 개발된 2만회선 TDX기종은, 현재 국내에 보급되고 있는 TDX기종이 북미 신호방식(NA Version)을 채택하고 있는데 비해, 대부분의 세계시장에서 ... ...
희귀동식물의 보고 설악산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자연보호에 힘입어 설악산에서만 사진촬영에 성공했다. 현재 산양은 세계적으로 국한된
지역
에 5종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주로 경사진 가파른 바위틈에 사는 산양은 신갈나무 피나무 등을 주식으로 하며 28종의 푸른 잎과 연한 줄기를 먹고 산다. 우리나라에는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황해도 및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영국(59명) 프랑스(22명) 스위스(36명) 미국(13명) 오스트리아(10명) 러시아(12명) 기타(17명)
지역
에서 유학생이 몰려와 이곳을 거쳐 갔는데 모두 1백 69명에 이르고 있었다. 심지어 그중에는 멕시코 사람 1명, 인도 사람도 2명이나 끼어 있다. 실로 기센대학은 리비히 때문에 존속되고 있었다는 느낌마저 ... ...
해를 거듭할수록 풍성해지는 과학의 달 행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무료로 공개하기도 했다. 전국 시·도의 학생과학전시관도 이 날 일반에게 공개됐으며,
지역
에 따라 일일 과학교실을 열어 일반인들의 과학 이해를 도왔다. 한편 서울시내 중학생 2백명은 19일 창경원과 종묘에서 열린 ‘청소년 과학사진 촬영대회’에 참가해 즐거운 하루를 보내기도 했다. 대학생과 ... ...
한국의 자연 대암산의 큰용늪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개물통이 큰개별꽃 딱지꽃 큰제비란 오리방풀 벌깨덩굴 곰취 솔체꽃 등 대암산의 큰용늪
지역
은 천연으로 가꿔진 꽃밭이다. 특기할 식물로서는 비로용담 금강초롱 가는동자꽃 조름나물 날개하늘나리 좀통발 큰비단분취 및 바늘사초를 들 수 있다. 습원을 둘러싸고 있는 산의 나무로는 버드나무 ... ...
공해없는 꿈의 차 전기자동차는 어떤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있다. 배기가스와 함께 자동차가 유발하는 또 하나의 공해현상은 소음이다. 교통혼잡
지역
의 소음은 말할 것도 없고, 차안에 있는 운전자나 승객의 경우도 주행시의 소음은 안락함을 빼앗아가기 일쑤다. 시내버스의 경우, 대화에 곤란을 줄정도로 시끄러운 소음이 날 때도 있다. 그런데 ... ...
대우전자 컴퓨터사업본부장 안경수 이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성장을 이룩한 결과, 현재 8비트 PC시장을 주도하는 위치에 있다는 것(유럽
지역
과 남미
지역
에 수출도 꾸준히 늘어나 수출 80% 내수 20%를 기록하고 있다). ─MSX 기종이 애플기종에 비해 소프트웨어가 충분히 못하다는 것은 사실아닙니까. “애플기종 컴퓨터의 소프트웨어가 풍부하다는 것은 ... ...
에너지 소모와 폐기물이 만든 현대의 암세포 도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삼림이 점점 파괴되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다 세계적인 우육소비시장을 배경으로 다른
지역
에서 들어온 축산업이 삼림을 초원화하고 그 초원을 잘 손질하지 않아 황폐해져 사막이 되어가고 있는 현상도 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렇게 전세계에 산소를 공급하는 ‘지구의 폐’에도 암이 이미 ... ...
왕 VS7000 시리즈 발표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소감을 밝히며 한국실정에 맞는 경영방식을 통한 기업의 활성화와 미국본사 및 아시아
지역
본부와의 긴밀한 협력하에 끊임없는 연구 및 기술개발로 첨단기술 이전과 한국내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주력할것이라고 강조했다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14세기에 유물 거래자들에 의해서 매우 나쁘게 많이 알려져 있었다. 그러므로 그
지역
의 대주교 ‘트로이스’(Troyes) 조차도 1389년에 예수의 수의를 대중들이 모두 볼 수 있게 전시되었을 때 그것이 진짜라고 말하질 않고 단지 똑같이 그린 그림에 불과하다고 말했던 것도 당시 상황으로 보아서 ... ...
이전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