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비판정신과 함께 창의적 새 과업을 수행하기에 부족하지 않을 깊고 넓은 학문적 소
양
을 쌓아 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오직 이러한 자세와 준비를 갖출 때 오늘의 과학자는 학문 그 자체에서의 창의적 성과 뿐 아니라 현대 문명이 당면한 가장 심각한 위기상황에서 인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낼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변경된 것. 이에 대해 교사들은 '수업시간수가 다르고 보다 구체적인 목적의 전문인력을
양
성하는 만큼 교과과정의 변화는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힌다.그러나 이에 못지않게 중요한 문제는 전산고등학교 졸업생의 대우문제다. 현재의 정보처리기능사자격시험 기준으로는 고교졸업의 경우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겨내는데 도움이 될만한 식품을 몇가지 거론해 보았다. 이 글을 읽은 과학자 식품영
양
학자중 일부는 과학적 분석과 측정의 기초가 박약하므로 믿을 것이 못된다는 반론을 제기할지도 모른다.그러나 우리 조상들이 먼 옛날부터 그 효능을 믿고 애용해 온 식품에는 과학적인 측정이나 분석을 통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한편으로는 매혹적인 것이기도 하다. 신학자인 루돌프 오토가 말하는 타자(other)에 의한
양
면가치(ambivalence)의 누미노제(Das Numinose)의 체험을 하는 것이다.과연 이들의 체험이 무엇인지를 몇가지 사례로부터 알아보자.1961년 9월 19일 밤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휴가를 즐기고 돌아오고 있던 힐 부부는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야행성이다. 주로 다른 동물들이 먹다 버린 썩은 고기를 먹고 살지만 조그만 동물이나
양
염소 같은 작은 가축을 잡아먹기도 한다.그러나 얼룩 하이에나처럼 집단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두마리 이상의 줄무늬 하이에나가 같이 다니는 것을 보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 개의 공격도 제대로 ... ...
사과는 수직으로 쌓아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않는다.한편 사과에 흠집이 나느냐 안나느냐는 사과가 힘을 받아 흡수한 에너지의
양
이 얼마나 되는가가 좌우한다. 칸과 빈센트는 예를 들어 록 피핀(Rock Pippin)종의 경우 상하기 전 압력에 의해서 0.5J(줄) 정도의 에너지를 흡수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그들은 결론적으로 "보통의 보존조건에서는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코피와 관련된 가장 위험한 합병증은 혈액손실이 아니라 호흡장애다.동네 꼬마들의 싸움은 대개 코피로 끝난다. 어느 한쪽의 코에서 피가 나면 그것으로 승 ... 발생한 여러가지 질병이 코피를 흘리게 한다. 실제로 코와 부비강에 생긴 종
양
은
양
성이건 악성이건 코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두개이상의 단어를 일정한 차례를 두고 조합해서 쓴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자신의
양
엄마인 마타타가 누군가를 물려고 하면 '마타타 문다'(Matata bite') 식으로 주어진 마타타의 상징을 먼저 두드리고 마타타가 누군가에게 잡히면 '잡다 마타타'(grab Matata)의 차례로 상징을 누르는 것이다.한편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KAIST교수들은 프로젝트에 매달리기에도 바쁘다. 그래서 일반 대학원에서는 '과학자'를
양
성하고 KAIST에서는 '기술자'를 기른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KAIST석박사의 졸업논문중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부수적으로 얻은 것이 많다.한국과학의 큰 산인 KAIST는 벌써 20년의 전통을 쌓아 놓았다. ... ...
우주정거장에 재순환시스템 도입돼 우주에서 산소와 물을 자급자족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방법이 통하지 않을 것이다. 8명의 우주인이 1년간 장기체류하려면 실로 엄청난
양
을 싣고가야 하기 때문이다. 물과 산소만 자그마치 9t를 가져가야 하므로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게 됨은 불문가지. 그러므로 '프리덤'호의 우주인들은 적어도 자신들에게 제공된 공급품중 물과 산소를 회수해 ... ...
이전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다음
공지사항